문화의 종교적 경시자
- 최초 등록일
- 2000.09.21
- 최종 저작일
- 2000.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Ⅰ. 서론 3
1. 지혜문학의 범위 3
Ⅱ . 지혜문학 연구에 따른 새로운 발견과 개신교 전통과의 차이점 4
1. 인간존재의 목적과 의미가 인간의 삶이다 4
2. 생의 권위를 일상생활 속에서 찾아낼 수 있다 5
3. 인간은 자신의 운명에 대해 최종적인 책임이 있다 6
4. 인간의 역할이 질서 있는 우주 세계 속에서 질서 있는 역할을 맡은 것이다 7
5. 인간이 피조물의 왕임을 경축한다. 8
Ⅲ. 결론 8
참고문헌 10
본문내용
인간은 하나님 보시기에 신뢰를 얻고 가치가 있는 피조물인 만큼 우리 역시 인간을 그렇게 보아야 한다.
① 지혜문학은 삶의 목표가 인생 과정과는 별개라는 생각을 거부한다. 생활의 목표가 다른 세계에 있다는 생각은 인간 공동체의 중요성과 그 안전성을 약화시키며 과소평가 하는 것이다.
② 지혜문학은 생활 안내를 위한 가르침의 척도(尺度)는 무엇이 삶과 어울리는가를 세밀히 알아보는 인간의 노력 그 자체 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의 도덕적인 척도가 높은 차원에서 주어진 어떤 특수한 권위에 달려 있다는 생각을 거부한다.
③ 하나님은 인간에게 그의 미래를 선택할 권한을 주셨다. 이 같은 생각은 모든 것을 다 하나님의 손에 맡긴다는 것과는 대조적인데 그것은 종종 무책임성의 변명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④ 삶의 의미는 강력하고도 책임성있는 질서이며, 그 질서 속에서 인간은 그의 인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찾게 된다. 이런 생각은 하나님이 모든 것을 간섭하신다는 생각과는 대조적이다. 지혜문학은 인간공동체의 지속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친다.
⑤ 인간의 소명은 그의 사회적 및 자연적 환경과 의미있는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같은 생각은 인간의 정당한 위치가 세상과 반대되는 것이고 그의 참 희망은 세상에서 벗어나는 것이라는 일반적인 견해와는 대조적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