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
2. 글의 한가운데서 : 생성과 변화속의 하나님
2.1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의 과정철학
2.2 캅(John B, cobb, jr)의 신학
3. 글을 끝맺으면서
본문내용
우리에게 주어진 인생길 걷다보면 가끔은 환하게 웃기도 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인생길 걷다보면 가끔은 쓸쓸히 눈물도 짓는다오
하나님 우리가 웃을때에 우리와 함께 웃으시고
하나님 우리가 눈물지을때 눈물을
오늘도 우리와 함께 동행하시는 하나님
당신의 참사랑을 감사해요]
언젠가 작곡을 하면서 쓴 노랫말이다. 우리는 하나님을 어떻게 고백하는가? 그는 어떤 하나님이시며 어디에 계시는가?등등 우리는 수없이 많은 질문들을 던지면서 살아간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하나님이 나에게 눈물을 주시기에 하나님을 고백한다. 인간은 눈물의 존재이다. 우리네 생의 처음을 우리는 눈물로서 이세상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또 생의 끝을 타인으로 하여금 눈물 흘리게끔 하기에 인간은 눈물의 존재이다. 그 눈물을 가지고 신학을 하고 싶은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눈물을 외면하시지 않으신다. 우리네 인생이 지치고 힘겨울때면 하나님은 방관만하시고 우주의 삼라만상을 다스리시느라 분주하시기에 그래서 너무나 바쁜 나머지 우리를 외면하시는 분이 아니시다. 그분은 우리의 눈물 한방울 한방울속에 함께 계시고 우리의 웃는 웃음의 한 미소마다 하나님은 함께 계신다. 그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시다. 그래서 필자는 하나님을 믿는다.
전통적으로 신학은 하나님을 규정하기를 ‘우주적 도덕가로서의 신, 불변하며 무감각한 절대자로서의 신, 통제적 힘으로서의 신, 현상의 묵인자로서의 신, 남성으로서의 신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묘사로서의 신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부동의 원동자(unmoved mover)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신’은 우리에게 그의 영향을 주지만 신 그 자신은 그 이외의 다른 어떤 무엇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 부동의 원동자의 모습으로 있는 것이다. 이런 모습으로 하나님은 이 세계밖에 항상 존재하는 그래서 결코 이 세계에 관여하지 않는 권위주의적인 무서운 하나님, 추상적, 관념적 하나님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면 그리고 하나님이 우리와 관계성 속에 계시다면 그 하나님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참으로 살아계신 하나님, 즉 우리와 함께 고통당하면서 우리가 눈물 흘릴때 함께 흘리시고 우리가 웃을때 함께 웃으시는 감정을 가시신 하나님이며 또한 그 고통과 부조화를 극복해 나가시는 지금도 살아 역사하시는 하나님인 것이다.
참고 자료
1.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 오 영환 역, (서울:민음사,1993)
2. 존 캅, 데이비드 그리핀, 과정신학, 류 기종 역, (서울:열림, 1993)
3. 목 창균, 현대신학논쟁, (서울:두란노,1995)
4. 조 성노 편, 최근신학개관 中, 이 상직, 과정신학,(서울:현대신학연구소,1993)
5. 김 상일, 과정신학의 발달과 전개, (기독교사상, 1986년 7월호)
6. 윤 철호, 관계성 안에 계신 하나님, (장로회 신학대학교 교수세미나자료, 1995)
7. 윤 철호, 철학적 신학에의 조망, (장신논단 제9집(1993), 10집(1994),(서울;장로회신학대학
교 출판부)
8. 윤 철호, 하나님이 고통 하나님의 능력, (장신논단7집, 서울:장로회신학대학 출판부, 1991)
9. 장 왕식, 신고전 유신론과 과정신학, (신학과 세계 7호, 1981)
10. 송 성진, 존 캅의 기독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기독교 사상 1996, 1월)
11. 요한네스힐쉬베르거, 강 성위 역, 서양 철학사 上(서울 : 이문출판사, 1983)
12. Ernst Blosch, 희망의 원리, 박설호 역, (서울: 솔, 1993)
13. 백 승균, 희망의 철학자 블로흐,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2)
14. 문 창옥, 우주론의 문제와 범주. - 이글은 1996.10.30일 장로회신학대학원 철학적 신학 수업시간에 발표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