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울릉도 개관
- 최초 등록일
- 2000.06.24
- 최종 저작일
- 1997.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울릉도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구요..
이런 저런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목차
Ⅰ. 화산지형과 해안지형 1
1. 화산지형 1
2. 화산의 형태 1
가. 순상화산 1
나. 성층화산 1
다. 측화산과 복합화산 1
3. 화산의 분출 형식 2
가. 열하분출 2
나. 중심분출 2
4. 화산분출물 2
가. 화산가스 2
나. 용암 3
다. 화산 쇄설물 3
라. 화산회층과 화산회편년 4
5. 화산대 4
6. 화구지형 4
가. 화구 4
나. 칼데라 5
2. 해안지형 5
가. 해안침식지형 5
나. 해안퇴적지형 6
Ⅱ. 울릉도의 자연환경 7
1. 일반개관 7
2. 지형 7
3. 지질 8
본문내용
Ⅰ. 화산지형과 해안지형
1. 화산지형
화산지형이란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지표로 솟아 올라 오는 활동, 즉 화산작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종 지형을 가리킨다. 습곡 및 단층운동과 더불어 화산작용은 지표의 기복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화산지형도 일단 형성된 다음에는 다른 지형들과 마찬가지로 침식을 받아 평준화된다. 그러나, 비교적 짧은 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특색인 화산지형은 각종 원시적인 형태를 보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자연에 대한 신비감 내지 외경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알맞다. 오랜 기간에 걸쳐서 천천히 형성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개석이 진행되는 습곡산지나 단층산지와는 대조적이다.
화산지형에서는 화산분출물이 쌓여 이루어지는 화산이 관심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파괴적인 화산활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형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화산체의 개석과정도 근래에는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역사시대에 분화활동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 활동 중인 화산은 없다. 중생대말, 제3기 및 제4기에는 한반도에서도 화산활동이 비교적 활발했었다.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있었던 화산활동의 흔적은 제주도, 백두산, 철원 등지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 권혁재, 1994, 「지형학」, 법문사, p.412
그리고 답사지역인 울릉도의 경우는 신생대 제3기에서 4기초에 형성되어 현재에 남아 있는 것이다.
2. 화산의 형태 권혁재, 1994, 「지형학」, 법문사, pp.430~432
가. 순상화산
순상화산 (shield volcano)은 유동성이 매우 큰 현무암질 용암이 화구를 통하여 흘러 넘칠 때 발달한다. 거대한 방패 또는 경사가 완만한 도움처럼 생긴 대규모의 순상화산은 장기간에 걸쳐서 분출한 수백 내지 수천 매의 용암류가 누적됨으로써 발달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 순상화산은 일반적으로 화산체가 규모가 크고 높이에 비하여 밑 부분이 매우 넓으며 사면의 경사가 극히 완만하다. 다른 이름으로는 아스피테(aspite)라고도 불린다.
.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