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로에 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1999.10.27
- 최종 저작일
- 1999.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머리말
본문
1. 생애
2. 사상적 기조
3. 군주관
4. 권력관
맺음말
본문내용
최승로의 정치시상은 한마디로 신라육두품계열의 개혁성과 보수성, 유교적인 中庸적입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했듯이 필자는 고려초기의 정치적 변동을 최승로로 대표되는 유가적입장의 귀족정치이데올로기와 쌍기로 대표되는 법가적입장의 중앙집권적 군주전제정치이데올로기의 충돌로 보고 있다.
아이러니칼한 점이지만 최승로는 그가 그렇게 비판을 가했던 광종의 과감한 개혁정치에 도움을 얻은 바가 크다. 개국초기에 신권이 왕권을 압도했던 생황에서 광종이 개국공신계열을 많이 숙정했기때문에 성종대이후 어느정도 왕권이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시대의 왕권과 고려의 왕권을 비교한다면 고려시대의 왕권이 상당히 미약함을 할 수 있다. 이 이유를 필자는 광종의 개혁이 불완전하게 끝났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성종대에 광종의 개혁의지를 본받아 이를 꾸준히 추진했다면 고려는 훨씬 안정적인 발전을 할 수 있엇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신권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군주체제에 있어서 왕권의 확고함이 국가체체의 안정과 직결함은 주지하는 사실인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