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선 초, 숭유억불 정책’에 따른 불교의 영향력은 과연 정말로 줄었을까 - 고문서와 조선왕조실록 강독을 중심으로

*경*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4.09
최종 저작일
2019.12
1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조선 초, 숭유억불 정책’에 따른 불교의 영향력은 과연 정말로 줄었을까 - 고문서와 조선왕조실록 강독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가. 연구목적
나. 연구의 필요성
다. 연구방법

II. 본론
가. 麗末鮮初의 佛敎政策
1). 高麗時代
2). 朝鮮 初의 崇儒抑佛政策
나. 古文書로 본 朝鮮 朝廷과 民들의 佛敎儀式
1). 朝廷의 佛敎儀式
2). 民들과 士大夫들의 佛敎儀式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5호 16국이라는 혼란의 시기에 중국 왕조들은 헤게모니 다툼에서 승리하고자 인도의 佛敎를 받아들이고, 율법을 만들었다. 또, 佛敎의 교리 체계를 이용하여 모든 중생들이 노력에 따라 부처가 될 수 있는 大乘佛로 바꾸었으며, 그 노력의 대상을 국가로 규정하여 자연스럽게 국가에 대해 봉사하고 충성하도록 만들어 혼란스러운 중원의 정세 속에서 살아남게 하였다. 이러한 불교는 지리적 특성상, 그리고 경제 지리학적 특성상 자연스럽게 한반도에 들어오게 되었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 불교가 국가 종교로 공인 된 기준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중국에서부터 변형된 불교를 받아들였다. 불교는 처음에 ‘崇信佛法求福’ 숭신불법구복, 즉 백성들에게 불교를 숭상하고 복을 구하게 한다는 이념으로 퍼져나갔으며, 기존의 한반도에 존재했던 민간신앙과 결합, 수용하여 널리 퍼져 나갔다. 결론적으로 삼국시대나 당시 중원 국가들은 다원적으로 흩어져 있던 백성의 정신적 기둥을 불교라는 종교로 일원화시키려 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한반도의 불교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그리고 후고구려로 대표되는 후삼국시대를 포함하여 고려시대에 더욱 강해졌는데 고려시대에는 강해진 불교세력의 잦은 폐단을 해결하지 못하여 골머리를 자주 앓을 정도로 그 힘이 더욱 막대해졌다. 그도 그럴 것이, 고려시대에 국가적으로 운영한 불교 제도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國史라는 직책이 존재하는 僧政을 실시했고, 국가 정책에 共議라는 형식으로 그들의 의견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승정에 의한 불교계의 정치적 영향력은 고려 말로 갈수록 더욱 강해져서 불교계의 종속화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종교의 본질은 없어지게 되고 말았다. 결국 이러한 행보는 麗末鮮初 숭유억불의 시발점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연 조선 초에 실시한 숭유억불 정책으로 백성 깊이 뿌리내려 있던 불교가 정말로 쇠퇴했을까? 이다.

참고 자료

『三國史記』
『高麗史』
박윤진, 「특집 : 고려시대의 불교와 정치 ; 고려시대 불교 정책의 성격」, 『불교학연구』, 9호, 불교학연구회, 2004.12.01.
최봉준, 「고려 태조~현종대 다원적 사상지형과 왕권 중심의 사상정책」, 《한국중세사 연구 제 45호》, 한국중세사연구, 2016.05.
채상식, 「성리학의 수용과 사회변동 성리학과 유불교체의 사상적 맥락」, 《역사비평 통권26》, 역사비평사, 1994.02.
도현철, 「조선 건국기 성리학자의 불교 인식」, 『한국사상사학 50권』, 한국사상사학, 2015.08
崔在馥, 「朝鮮初期 國喪에서의 49齋 설행과 변화」, 《朝鮮時代史學報 19》, 朝鮮時代史學會, 2001.12
김종명, 「세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한국불교학 58권》, 한국불교학회, 2010.11
박정숙, 「世祖代 刊經都監의 설치와 佛典 刊行」, 《釜大史學 第20輯》, 효원사학회, 역사와 세계 1996, 06.
최승희, 「세조대 (世祖代) 왕위의 취약성과 왕권강화책」, 《조선시대사학보 제1집》, 조선시대사학회, 1997.04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불교학연구 39호》, 불교학연구회, 2013.08.31.
김종명,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정치」, 《불교학연구 39호》, 불교학연구회, 2013.08.31.
조남욱, 「세종의 불교 수용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24권』,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04
이승희, 최경원 「영산회상변상도 판화를 통해 본 조선 초기 불교문화의 변화」, 『미술사연구 28호』, 미술사연구회, 2014.12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불교학연구 39호》, 불교학연구회, 2013.08.31.
송미경,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보이는 불교의 영향」, 《韓服文化 第21卷 第2號》, 한복문화학회, 2018.06
김용태, 「조선 불교, 고려 불교의 단절인가 연속인가」, 《역사비평 통권123》, 역사비평사, 2018.05
김용태, 「조선시대 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불교학 68권》, 한국불교학회, 2013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정책의 실제-승정체제, 사찰, 승도에 대한 정책의 성격과 변천」, 《한국문화 제8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09
김방룡,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유학연구 25권》,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조선 초, 숭유억불 정책’에 따른 불교의 영향력은 과연 정말로 줄었을까 - 고문서와 조선왕조실록 강독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