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의 `섬진강
- 최초 등록일
- 1999.02.24
- 최종 저작일
- 1999.0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문학으로 만나는 역사 / 4
김용택의 `섬진강'
말라붙은 가을 강이다. 속살이 들여다보일 정도로 투명한 물 속에는 푸른 하늘과 알록달록한 산그림자가 잠기어 있다. 그 하늘과 산 위로 고기들은 유유히 날아다니며, 물낯을 씻는 늦가을 햇볕이 그들을 포근히 덮어 준다. 강가에는 형제 같은 느티나무 두 그루, 마을 앞 텃밭의 고춧대 위에는 황적색 딱새 한 마리, 잎 진 감나무 가지에는 까치밥 두엇이 꽂힌 듯 매달려 있다. 한살이를 마감한 논에는 효수당한 농민군 같은 볏단들이 서거나 누워 있고, 앞뒷산에는 붉나무를 필두로 한 가을 나무들이 저마다 누렇고 붉은 잎사귀를 상처처럼 혹은 훈장처럼 거느리고 서 있다. 고적한듯 화려한 그 풍경은 아랑곳없다는 듯 공중에는 까치가, 땅 위로는 사람들이 바쁘게 오고 간다. 이곳은 전북 임실군 덕치면 장산리 진메마을. <섬진강>의 시인 김용택(48)씨의 둥지다.
“가문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퍼가도 퍼가도 전라도 실핏줄 같은/개울물들이 끊기지 않고 모여 흐르며/해 저물면 저무는 강변에/쌀밥 같은토끼풀꽃,/숯불 같은 자운영꽃 머리에 이어주며/지도에도 없는 동네 강변/식물도감에도 없는 풀에/어둠을
끌어다 죽이며/그을린 이마 훤하게/꽃등도 달아준다”(`섬진강 1' 앞부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