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운동과 척사운동

최초 등록일
1999.02.07
최종 저작일
1999.02
1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무료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개화사상의 형성

조선에서 개화라는 말이 쓰인 것은 대략 1880년대부터라 하는데, 이는 1870년대 일본에서 유행한 '문명개화'라는 말이 1876년 개항 후 조선에 들어온 것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개화사상이 정확히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 알기 어렵지만, 일찍이 문호개방을 주장한 박규수(朴珪壽)·오경석(吳慶錫)·유홍기(劉鴻基)등이 그 선구적 역할을 하였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북학파(北學派)의 거두였던 박지원(朴趾源)의 손자 박규수는 두 차례 청에 가서 서양문물의 우월성과 개항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으며, 오경석은 실학자 김정희(金正喜)의 제자로서 수차례 청을 다녀온 역관이었고, 유홍기는 의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밖에 정약용(丁若鏞)과 김정희에게 수학하였으며 위원(魏源)의 『해국도지(海國圖志)』를 보고 신무기를 만든 신헌(申櫶), 역시 김정희의 문하로 두 차례 청을 다녀온 바 있던 강위(姜瑋)등도 초기 개화사상가에 넣을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자료후기(3)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o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초대이벤트 - 뮤지컬 모짜르트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개화운동과 척사운동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