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최초 등록일
- 1999.02.10
- 최종 저작일
- 1999.0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서론
심리학에 대한 정의로 우리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기술하고 선언하고 통제
하려고 하는 과학이라는 말을 한다. 인간의 행동에 관한 학문인 이 심리학에는 다
양하고 기술적인 여러 분야들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교육의 시기와 방법을 심리
학적 측면으로 연구하여 교육실습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을 교육심리학이라 한다.
이는 모든 개인의 학슴경험이나 성장, 발달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심리학적인
사실이나 법칙을 밝히고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되는 학문임을 뜻하
는 것이다.
인간은 출생시 모든 포유류 중에서 가장 무능한 존재라고 한다. 인간은 부모로부
터 물려 받은 유전인자와 함께 환경이라는 중대한 영향력있는 요소를 만나게 된
다. 딥스라는 아이는 이런 여러 주위 환경들로부터 자기자신, 즉 자아를 분리시키
지 못하고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을면서 딥스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 무척이나 흥미롭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딥스에게 적용된 놀이치료라는 것의 절대적 효능을 의심할 수도 있
다고 생각한다. 책에서 딥스가 찾아가는 것은 바로 우리들 모두가 찾아가는 것이
기 때문에 과정의 문제, 시기의 문제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딥스가 자라나면
서 만나는 다양한 주위 환경들이 그의 자아인식 방해가 되었을 때처럼 도움이 되
지는 않았겠는가? 시기나 과정을 앞당겨 주었다는 정도의 생각은 들지만 주위와
동떨어진 특정한 방법의 이용은 그리 효과적일 수는 없을 것같다.
사회의 기존질서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어린이들이 그 사회에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그 사회에 적절한 행동, 가치관, 지적능력 등을 습득케 하는 과정을 사회
화 (socialization)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아동은 사회가치에 어울리게 행동하는
방식을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딥스 역시 이런 주위 환경들로 비록 시간의 문제가 있더라도 사회에 적응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었으리라 생각해 보면서 본론에 들어가 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