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상과 기능론적 설명
- 최초 등록일
- 1999.02.10
- 최종 저작일
- 1999.02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회학의 두가지 큰 패러다임.
1. 기능론
2. 갈등론
* 기능론 (functionalism) -사회를 유기체로 본다. -모든 부분의 기능을 잘 해야 한다.
유기체에서 하나라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안된다.
-특징.
1)질서유지 - 모든 구성원이 합의한 질서이다.
동의 : 모든 구성원이 만장일치로 합의 한 것.
2) 적응 -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이든 제도든간에 사회라는 커다란 환경에 적응을 해
나가야 한다.
3) 기회균등과 업적주의 - 평등 ->동일성-만20세이상이면 한 사람에게 한 투표권생김.
->공정성-기회균등.
- 업적주의 정신 - 동일한 평등과 기회를 자신 스스로가 받아들이는 정신.
- 기회를 이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에게 달려있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업적주의가 빈약하다.)
-모순 : 사회의 구조적 불평 등을 합리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회는 언제나 구조적으로 불평등하다.
예) 가난해도 당연하다. 노력을 안 했으니까.
흑인은 가난하다. 게으르기 때문이다.
4) 개인주의 - 사회의 성패를 개인의 노력을 가지고 설명한다.
5) 점진적 개량주의 - 기능론의 입장에서 '혁명','변혁'은 바람직하지 않다.
- 사회는 점진적으로 개량되어져야 한다.
- 급진적 변화는 기능론으론 설명할 수 없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