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영학연구 키워드를 통해 본 한국 경영학연구의 흐름 (Tracking the Evolution of Business Studies in Korea via the Keywords in Korean Management Review)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경영학연구 키워드를 통해 본 한국 경영학연구의 흐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 Business Review / 20권 / 3호 / 101 ~ 130페이지
    · 저자명 : 김희천, 김영규, 김태경

    초록

    본 논문은 한국경영학회 창립 60년을 맞이하여 국내 경영학 분야 최초이자 최고 학술지인 경영학연구에 실린 논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국내 경영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경영학연구가 첫 출간된 1971년부터 2015년 5월까지 경영학연구에 발간된 논문 1,618편 모두를 대상으로 1971년부터 1989년, 1990년부터 1999년, 2000년부터 2009년, 2010년 이후의 4시기로 나누어 키워드 어형 분석을 통해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어떤 연구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는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971년부터 1989년 사이에는 증권시장, 회계기준 및 원칙, 한국에 맞는 경영교육 및 경영철학 정립, 경영학 이론의 소개 및 한국과 해외 경영 비교 연구 등 한국 경제 성장의 제도적․정책적 기틀 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반부에 경영 환경이 어려워짐에 따라 노사관계, 경영개선 등 기업 경영 효율화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는 세계화에 발맞추어 국제경영 및 전략 분야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고 시장 및 브랜드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으며, IMF 이전 및 이후에는 위기 극복과 관련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불확실성과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가 주요 이슈로 등장했으며, 벤처기업에 관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한편 한류 열풍과 맞물린 한류 및 콘텐츠에 관한 연구와 인터넷에 관한 연구가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2010년 이후에는 불확실성, 지속가능경영, 사회적 책임 등에 관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이를 통해 경영학연구는 높은 수준의 현실적합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키워드의 수명주기 및 연관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경영학 개별 분야 간 연구주제의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통된 주제를 통한 학제간 연구가 보다 발전할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참고문헌 중 논문 비중의 증가, 공저자 수 증가 등을 통해서 학문적 엄격성이 높아지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 경제 발전사에서 한국 경영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 경제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한국형 경영학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o seek th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management studies by examining the papers published at Korean Management Review (KMR), the first and the best scholastic journal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ll 1,618 articles published at Korean Management Review from 1971, the year of first publication, to May 2015 and analyzed main research topics for four periods of time: 1971-1989; 1990-1999; 2000-2009; 2010 and onwards. According to our analysis, from 1971 to 1989, KMR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economic development by such studies as securities market, accounting standards and principles, establishment of business education and philosophy in the Korean context, introduction of up-to-date business and management theories, 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 and foreign states. In addition, in late 1980s, when economic conditions turned unfavorable, KMR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business efficiency by increasing publications on such critical issues as industrial relations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In 1990s, upon globalization, KMR increased research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strategic management field significantly as well as studies on markets and brands. Before and after the IMF crisis, KMR published more studies related to economic crisis. In 2000s, KMR made uncertainties and innovation the important issues and introduced studies on start-ups and small entrepreneurial firms from various perspectives. Moreover, KMR gave more attention to research on Hallyu and contents as well as the Internet. Since 2010, KMR hosted more studies on uncertainties, sustain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By looking at these trends, this study h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KMR has had the high degree of relevance. This study has also performed analysis on life cycles and networks of keywords, based on which this paper suggests a possibility of more development in product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a few key research agenda through KMR. In addition, this study has observed the enhanced rigor by looking at changes in basic measures such as the weight of journal articles in references and the number of co-author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style management that will guide the futur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usiness theories in Korea on th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