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의 자아지향과 일-육아 갈등: 30, 40대 중산층 기혼 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Women's self construal and the conflict between working and rearing based on the cases of middle class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7.09
41P 미리보기
여성의 자아지향과 일-육아 갈등: 30, 40대 중산층 기혼 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0권 / 3호 / 245 ~ 285페이지
    · 저자명 : 조명희, 김세현

    초록

    한국의 여성들은 직업 활동을 통한 자아실현 욕구와 자녀 양육이라는 현실적 제약 속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24명의 3,40대 중산층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접자료를 바탕으로 여성의 자아 지향성이 직업 및 육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면접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대부분 여성의 출산을 ‘사회적 의무’가 아닌 ‘개인적 선택’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직업 활동에 대해서는 여성의 삶에서 ‘선택’적 요소이기 보다는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 있었다. 하지만 개인의 자아 지향과 일과 육아를 동시에 수행해야만 하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일-가족 갈등 상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먼저 강한 일 지향성을 가진 여성들 가운데 현재 취업 활동 중인 여성들은 대부분 일을 통한 자아성취를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강한 일 지향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에서의 압박이나 가족구성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직업 활동을 지속할 수 없었던 여성은 자아실현의 욕구와 육아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가정주부로서의 삶을 영위하고 있는 여성의 경우 ‘자녀 중심적 자아 지향’을 보였던 응답자와 ‘일 중심적 자아 지향을’ 보인 응답자로 구분되었다. 먼저 자녀 중심적 자아 지향을 보인 응답자의 경우를 살펴보면 응답자들은 자녀의 성장과 발전을 우선적 가치로 생각하면서 일-육아 갈등 상황에서 대부분 자발적으로 취업을 중단하였으며, 가정주부로서 육아를 전담하는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 역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 중심적 자아 지향을 가지고 있는 전업주부는 일-육아 갈등 상황에서 대부분 외부적 요인에 의해 강제적으로 취업 활동을 그만 둘 수밖에 없었으며, 일을 통한 자아실현이 충족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개인으로서의 삶과 자아가 박탈되었다는 상실감을 겪고 있었다.
    육아와 관련하여 돌봄 주체에 대한 의식 역시 여성의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취업 여성의 경우 육아문제 해결을 위해 가정과 국가 모두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보면서 부부가 함께 육아휴직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미취업 여성들의 경우에는 자아성향에 따라 돌봄 주체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자녀 중심적 자아 지향’을 지닌 가정주부의 경우 자녀 육아에 있어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어머니가 직접 아이를 기르고 교육하는 육아 활동에 대하여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현재 자신의 양육 활동과 자아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일 지향적 자아’를 가진 여성들의 경우 국가에 의한 돌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보육시설의 확립과 같은 국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현재 상황에 대한 만족도 역시 다른 응답자에 비해 낮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영어초록

    Korean women are facing the conflict between the need for the self realization through working and realistic constraint for the rearing their children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effect on correlation of the self construal and the satisfaction in working and rearing based on the depth interview with 24 middle class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Most interviewees responded that the childbirth is not a social duty but a personal selection despite working is not a selective object but an indispensable task in their life. However the conflict situation on the work and family appears in various types in the particular circumstance which requests the multi-role performance for working and rearing. Above all the interviewees who have work-oriented self and are working satisfaction due to the self achievement by work, while the interviewees who leaved the work because of the lack of support from the family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in the work place in spite of their work-oriented self, are under the conflict situation  between the need for the self realization and the rearing.
    On the other hand, the housewives group among interviewees compose with the child-oriented self and the work-oriented self. When it comes to the interviewees with the child-oriented self, they voluntarily leaved the work in the conflict of working and rearing si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 must be the first priority in their life, also they tend to feel satisfaction on their current life as housewife. Meanwhile the housewives interviewees with the work-oriented self used to leave the work compulsory by external factors when they suffered from the working-rearing conflict. It makes them to have disappointment since the self realization is not fulfilling their individual life and self through working.
    Furthermore, the recognition on the caring subject differs in terms of the social context of each interviewee. Employed interviewees respond that the family and the Government must have effort in parallel for resolving the working-rearing conflict, for example,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complementary shall be mandatory for the parental leave of absence without constraints. Unemployed interviewees demonstrate the different recognition on the caring subject in line with their different self constraul by each interviewee. The interviewees of housewives with the child-oriented self tend to give the high priority on the activities of family for rearing children, consequently they put a premium on mother's role and feel high satisfaction on their own rearing activities and self. On the contrary to this, the interviewees of housewives with work-oriented self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by the Government such as the enlargement policy of Child-Care Publicity and policy of public child-care center, the satisfaction of their life negatively appears as well comparing with other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