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객자산 구성요소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Relative Effect of Customer Equity Drivers on Customer Loyal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1.03
23P 미리보기
고객자산 구성요소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26권 / 1호 / 23 ~ 45페이지
    · 저자명 : 안광호, 김성환, 김모란

    초록

    최근 신규고객의 획득보다는 기존고객의 유지 및 관계강화가 기업수익성을 창출하는데 주요원천이 됨에 따라 고객관계관리(CRM)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고객관계에 기반을 두어 형성된 고객자산(customer equity)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객자산의 구성요소는 가치자산(value equity), 브랜드자산(brand equity), 관계자산(relationship equity)로 구성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고객생애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고객자산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고객생애가치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개념이지만, 기업들이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고객생애가치에 기반한 고객자산 측정은 고객의 누적 구매량과 구매액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고객자산을 정의하는데 핵심요소인 장기적 고객관계 구축이라는 개념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형성이라는 고객자산의 핵심개념을 반영하기 위해 고객생애가치 대신 고객충성도를 사용해 고객자산을 측정했다. 본 연구는 Rust, Zeithaml, and Lemom(2000)이 제안한 고객자산모델을 확장시킨 Vogel, Evanschitzky, and Ramaseshan(2008)의 연구를 바탕으로 고객자산의 구성요소들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고객자산 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고객자산의 구성요소와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제품유형이 갖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고객자산의 구성요소인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은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자산과 관계자산에 비해 브랜드자산이 고객의 기업/브랜드 충성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자산의 구성요소들과 고객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제품유형이 갖는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관여/이성제품의 경우 가치자산과 브랜드 자산이 고객충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관여/감성제품의 경우에는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 모두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관여 이성/감성제품의 경우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 모두 고객충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고객들은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 모두를 고려해 기업 또는 제품에 대해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충성적 행동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유형에 따라 고객자산의 구성요소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한된 마케팅자원을 가진 기업들이 제품유형에 따라 고객자산 구성요소에 대한 마케팅투자의 비중을 차별화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As maintaining and growing existing customers become more profitable source than the acquisition of new customers, many firms recogniz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he key of successful CRM is to measure, build, and strengthen the customer equity. The concept of customer equity is important in combining customer relationship/ retention management with brand management. In the saturated product market, customer equity as a measure of the future purchase behavior of a firm's customers is a strategic intangible asset to be monitored and strengthened to maximize long-term marketing performance. With the growing recognition that customer equity is a key strategic asset, researches on linking marketing actions to the return on investment for marketing mix programs and customer equity have been gaining significance and several conceptual/quantitative models have been proposed.


    Our study consists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The purpose of qualitative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three customer equity drivers(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re useful and valid constructs in predicting the loyal customer behavior and how they have differential impact on the customer behavior according to product types. For this purpose we use ethnographic interview. Four informants are interviewed to implement the domain analysis, taxonomy analysis, componential analysis and draw the theme and meanings. We find that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re useful constructs in explaining the customer loyalty and have differential impact on the customer behavior according to different product types.
    Quantitative approach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ustomer equity drivers on customer loyalty based on the study of Vogel, Evanschitzky, and Ramaseshan(2008) which had expanded the Rust, Zeithaml, and Lemon's study(2000) on customers equity. Specifically we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that are customer equity drivers have differential impact on customer loyalty And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relative impact of customer equity drivers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product types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rs of customer equity and customer loyalty as well. The products are categorized as four types that are high involvement-think product(notebook), low involvement-think product(apparels), high involvement-feel product(coffee store), low involvement-feel product(shampoo).
    we us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mpirically te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nd customer loyalty. The empirical results support that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loyalty. Especially brand equity affects more strongly on company/brand loyalties than the other two drivers( value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do.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quity drivers and loyalty, In the case of high involvement-think product, only brand equity and value equity affect customer loyalty significantly. For high involvement-feel product, all of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ffect customer loyalty positively and brand equity is especially crucial in building customer equity. In the case of low involvement think/feel product, all of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ffect customer loyalty significantly.


    The customers seem to build loyalty based on the careful assessment of all drivers of customer equity such as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In addition, their relative impac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Since a company can not maintain all customer equity drivers at high level with its limited marketing resourses and to do so is also ineffective, marketing investment in drivers of customer equity needs to be differentially allocated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