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를 통한 공동체 활동의 효과성 분석: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based Community Activiti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1.04
31P 미리보기
문화를 통한 공동체 활동의 효과성 분석: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거버넌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28권 / 1호 / 31 ~ 61페이지
    · 저자명 : 최은미, 서순복

    초록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천은 2000년대를 거치면서 공공예술과 커뮤니티 아트라는 구체적 장르화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미학적 논의의 예술 담론을 넘어 사회문제에 대한 실천적 문화담론으로 확장되면서 공동체 문화의 회복과 확산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정부 문화정책의 대표사업은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이며, 본 사업에 대한 메타평가를 시행하여 수행된 연구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의 가치와 시사점 도출을 통해 공동체 문화 형성과 확대 정책의 미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문화를 통한 공동체 활동에서 예술가 및 기획자와 주민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운영주체가 마을에 실제 거주하는 주민으로 지역과 연계할 때 활동의 수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공동체 활동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을주민과의 일상적 교류 정도, 공동체 소속감과 자긍심, 거주지역 만족도, 의사결정의 민주성 및 참여도, 개인과 공동체의 사회자본의 증가가 일반 마을에 비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사업 참여 주민 개인과 주민 공동체에 미친 영향 평가는 실험실과 같은 통제 환경이 아니므로, 그 결과가 사업 참여영향으로만 볼 수 없다는 한계는 갖는다. 하지만, 지난 10년 성과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업 효과성을 평가하여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보다 정치하고 개선된 평가방법론이 개발, 적용되어 사업 추진 효과의 체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eginning from the late 1990s the social value of art created specific genres,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through 2000s. Recently it emphasizes on the recovery and proliferation of community culture, expanded to a practical cultural discourse related on social issues beyond aesthetic debates and artistic discourses.
    On the public policy matters, ‘Creating cultural community in every day life’ has been a main cultural policy project of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it aims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y to create and extend community culture, drawing the values and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rom the study data based on meta-evaluation on the project.
    The result shows an aspect that the boundary between artists or planners and participants gave away. Also analyzing the data there is a gap in activity quantity in the case that participants living in the town as a main body of the project engage in the local society. At last, the result of effectiveness analysis on community engagement could reach a conclusion that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comparing with other communities not practising the project in the degree of ordinary exchange with other community people, community membership and pride, neighborhood satisfaction,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articipation, increase of social capital both individuals and community.
    It is a critical point in this study that there are many other factors on the result of practising the project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practising environment as much as under the condition of lab. However it could be significant that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based on the last 10 year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oject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in the future to develop more accurate and advanced evaluation methods and practise on the project for increasing the project performances and its eff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