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인터넷 중독 모형 분석 (The Analysis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Mod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5.12
14P 미리보기
청소년 인터넷 중독 모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 6권 / 4호 / 1307 ~ 132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일, 정여주

    초록

    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 위험에 처해있는 청소년들이 어떠한 경로를 따라 인터넷 중독 현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루어졌다. 전국 16개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를 실시했으며, 1,666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 모형을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은 가상 공간에서의 인정, 친밀감 등의 가상적대인관계지향성과 자유로움, 흥미, 자신감, 스트레스 해소의 긍정적 기대로 인해 인터넷 사용을 시작한다. 지속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면 금단과 내성 증상을 지니게 된다. 금단과 내성 증상을 가진 청소년들은 건강이 나빠지거나, 수업시간에 집중을 하지 못하거나, 일상적인 생활에서 게을러지는 등의 일상생활의 장애를 겪게 된다. 그리고나서 수업을 빠지고, 선생님을 속이고, 인터넷을 하기 위해 돈을 훔치는 등 일탈 행동에 이르게 된다. 일탈 행동에 빠진 청소년들 중 인터넷 사용량이 많아지면, 환상을 보고, 비도덕적 행위를 하는 등 현실구분장애에 이르게 된다.

    영어초록

    Along with increasing the use of Internet,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about the addiction since Young, K. S. presented “Psychology of computer use: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in 1996. The Internet Addiction was defined operationally as increasing tolerance of long Internet use hours, withdrawal, and showing disturbances of adaptive functioning in daily lives. The Korean public is apprehensive about pathological use of Internet, which results in negative life consequences, such as academic failure, job loss and marriage breakdown. Different from other psychological addictions, Internet Addiction would be akin to pathological gambling as an impulse-control disorder with no involvement of an intoxica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net Addiction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Internet Addiction model could be used to understand how youth people were addicted to Internet and to help teachers and counselors to counsel them. The previous researches supported that Internet Addiction was consisted of 7 factors: Addictive Automatic Thoughts,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 Deviate Behaviors, Tolerance, Withdrawal, and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These fact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Preceding Factor, which had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dictive Automatic Thoughts, the Addiction Symptom, which had Tolerance and Withdrawal, and the Following Factor, which had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 Deviate Behaviors, and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16 secondary school students took the Internet Addiction-proneness scale, statistical information(22 inquiries), and MMPI Lie scale(12 inquir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66 students(from age 13 to 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program, the Internet Addiction Model was developed. The model indicated the process of Internet Addiction. The study found that Automatic Addictive Thoughts or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serve as a gateway to Internet Addiction. As a matter of fact, adolescents were attracted to the Internet because they thought that friends whom they met in the virtual space would recognize them and having virtual friendship could make them happy. And they believed that they would feel free, become interested, get confidence, and reduce stress through Internet. These two factors made them use Internet continuously. And then adolescents went to the Addiction Symptom stage, which was characterized by Withdrawal and Tolerance. Besides, Internet overuse seemed to cause Disturbances of Adaptive Function and Deviate Behaviors. The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was hypothesized as a symptom of severe Internet Addiction. The Internet Addiction Model was statistically sound and valid. This Internet Addiction Model would help counselors to understand students and contribute to design an effective prevention program in the schools and the counseling cen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