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의 평화의 조건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s Peace after the Second Summit Meeting of North and South 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07.12
35P 미리보기
제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의 평화의 조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평화학연구 / 8권 / 3호 / 113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수민

    초록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평화의 조건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제2차 남북정상회담의 주요 성과는 남북관계에서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적 구조 창출, 남북간 안보 논의에 있어서 새로운 장의 개막, 남북대화와 6자회담의 선순환 관계 입증, 남북경협의 양적․질적 발전 토대 마련과 상호 경제적 이익의 추구 및 남북경제공동체의 건설에 대한 탄력제공, 남북관계의 실질적 제도화 기회 제공 등이다. 그에 따른 한반도 평화의 과제는 10.4선언의 ①항, ②항, ③항, ④항, ⑤항, ⑦항 등의 이행 문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둘째, 한반도의 평화는 평화체제 수립(남북 평화협정의 체결․ 군비축소․국제적 보장), 남북 경제공동체의 형성, 민주주의의 정착, 평화교육(비폭력․관용․공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셋째, 평화문화는 남과 북이 폭력을 용인하는 문화에서 폭력을 부정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 전쟁이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듯이 평화도 인간의 내적 변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것, 남과 북이 비폭력․관용․공존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함께 공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을 위한 성인교육까지를 포함시키는 평화교육의 실행에 적극 나설 때 가능하다.
    넷째, 한반도 평화문화의 실천과제로는 현재의 남북한 관계가 긴장완화와 대결의 반복되는 불안정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군사적 긴장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 북한의 핵개발․보유 문제, 6자회담의 개최 이후 지금까지 미국과 북한의 갈등구조, 북한과 일본 간의 문제, 북한의 경제위기문제, 그밖에 한반도를 중심으로 주변국가 간 적대 관계 등이 지적되었다.

    영어초록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s Peace after the Second Summit Meeting
    of North and South Korea



    Kim, Soo-Min
    (Sun Mo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s peace after the second summit meeting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 the second summit meeting between two Koreas gave positive impacts on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lationship by creating a virtuous circle of peace and economy, an opening a new field of peace and security, verifying the virtuous circle between the six party talks and North-South dialogues, building for found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providing a dynamics for building of economic community between North and Sout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ubstantial institutionalization between two Koreas. The peace of Korean peninsula, however, is closely rel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10.4 declaration.'
    But the opinions of South Koreans have divided into two about the summit meeting and the 10.4 Declaration, namely they express very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toward it. Here are the main issues;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ern Limit Line(NLL), the repatriation of abductees and prisoners of war believed to be still alive in North Korea, the social costs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North Korea, the nuclear renunciation of North Korea, the tripartite or quadripartite abrogation of cease-fire agreement and the conclusion of peace agre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etc.
    Second,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s peace after the second North-South summit identified into the 4 dimensions by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Korean peace system, the building of an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the settlement of the liberal democracy, and carrying out of the peace education.
    Third, the directions to create the peace culture are to focus on ensuring the end of the military showdown, the actualization of the peace education, the complete dismantlement of the remaining Cold War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Fourth, the practical tasks to create the peace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re pinpointed as the serious problems in the unstable state of armistice and military tension of two Koreas, the unsolved problem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problems of ceaseless hostility between Pyongyang and Washington after the opening of the six-party talks, the problems of the repeated hostilitie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the problems of the North Korea's worsening economic crisis, and the new growing issues of the serious conflict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s neighboring countries,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화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