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 거주, 집: 거주하는 인간 (Space, Dwelling, Home: The Dwelling Human Be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공간, 거주, 집: 거주하는 인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11호 / 2 ~ 31페이지
    · 저자명 : 홍경완

    초록

    본고는 ‘집 없는 인간’(der unbehauste Mensch)이라는 현대인에 대한 진단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말하는 집은 건축물로서의 집, 사고파는 일이 가능한 상품으로서의 집을 말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의 집은 아늑함, 편안함, 안정감 등의 ‘내 집 같은’ 기분을 만들어 주는 거주하는 공간, 한 곳에 일정 기간 머무는 정주(定住)의 자리를 말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의 집은 고향과 맥을 같이하고, ‘집 없는 인간’은 ‘고향을 잃어버린 인간’과 같은 말로 이해된다. 이런 출발점 위에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며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거주의 의미를 잃어버릴 위협에 처한 것이 실은 공간에 대한 시선을 잘못 두고 있어 그런 것은 아닐까? 공간을 잘못 봄으로 인해, 집이 ‘사는 곳’이아니라 ‘사는 것’이 되어 버린 것은 아닐까?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는 부동산 투기도 어떤 의미에서는 자신의 삶의 공간을 무한대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욕망’이 만들어 낸 병리 현상이 아닐까? 결국 이런 거주와 공간에 대한 잘못된 의미 부여가 고향 상실, 인간 상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이미 수학적·물리학적 공간에 익숙해져 있다. 이 공간은 인간의 삶과 유리된 추상적 공간에 불과하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관에 젖어 있어, 일상의 삶과 긴밀히 이어진 다른 공간이 있음을 보지 못한다. 우리 삶과 직접 관련되어 있는 생활 세계에서 이해하는 공간, 근본 기분을 만들어내는 현실로 이해되는 공간이 우리에게 절박하다. 제대로 된 공간 이해 위에 진정한 의미의 거주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거주는 집이라는 안정성의 영역, 인간이 위협적인 외부 세계 앞에서 되돌아 갈 수 있는 고유한 ‘공간’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공간적 존재인 인간 전체의 본질이 ‘거주’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이다. 어쩌면 실존보다 더 우선되어야 할 것이 거주일지도 모른다. 인간이 거주하는 고유 공간으로서 집은 세계의 중심이고 뿌리이며, 모든 것과 관련된 중심점이다. 거주성(Wohnlichkeit)을 갖춘 집에서 안정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 ‘거주하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해야 할 과제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begins with a diagnosis of modern people, as ‘der unbehauste Mensch’. The home we are talking about here is of course not as an architecture, nor as a product for sale. The meaning of home here is a dwelling space that makes me feel ‘hominess’, which gives coziness, comfortableness, and stability to us. The home indicates the domiciled place where we are stay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respect, the home here and homeland have the same context. ‘Homeless man’ and ‘a person who loses his or her homeland’ are understood as the same word. On the basis of this starting point,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find the answer, and raise the following questions. Isn’t it true that because of focusing our gaze on the wrong direction of space, we are facing the danger of losing the meaning of dwelling? Isn’t it true that the home becomes ‘what to buy’ instead of ‘space to live’ by viewing space from the wrong point of view? Isn’t it true that real estate speculation, which has become a chronic problem in South Korea, is a pathological phenomenon caused by the space-desire of expanding one’s own living space to infinity, in a sense? Finally, isn’t it true that granting the false meaning of dwelling and space leads us to the loss of our hometown and humanity? We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mathematical or physical space. It is just an abstract space unrelated to human life. Because of getting used to see the space in this way, we are not able to see the existence of other understandings of space. We desperately need the space understood as a living world directly relevant to our life, as a reality that makes our grounding-attunement. Based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pace, the authentic meaning of dwelling can be established. Because a dwelling home means “having a stable space, having an original space where one can come back to in the face of the threatening world.” Due to the fact that the whole nature of human is seen as a spatial existence, dwelling is defined as meaning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space. The priority part might be dwelling rather than existence. Home as an original living space of human being i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s roots, and it is the center of everything in relation to it. It is the assignment of the ‘dwelling person’ during his or her life to let the people stay at home with ‘Wohnlichke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