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습자의 사회학 : 범주적 집단에서 질적 개인으로 (Sociology of learners : mutual growth of students and teacher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학습자의 사회학 : 범주적 집단에서 질적 개인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23권 / 3호 / 149 ~ 181페이지
    · 저자명 : 김두환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사회학이 주로 학습자를 범주로 분류해온 관행이 시대적 요구에 더 이상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개인에게 잠재된 자유로운 자기창조의 능력을 강조하는 우리시대의 요구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의 고유성에 기초한 관심과 삶의 의미를 공유하는 인간적 삶에 어울리는 교육은 사회화라는 전통적 교육의 관점보다는 관계 맺기의 능력(associational competence)을 신장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추상화된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버린 개인의 역량을 고양하기 위해서, 우선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에 관한 관념이 서구와 한국에서 어떻게 구체적, 사회적 실재로서 개인을 국가 또는 민족 같은 거대집단에 망실하고 말았는지 검토한다. 또한 근대적 사회의 진화과정과 짝을 이루는 근대적 개인의 발명과정을 서구의 역사를 통해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도 살펴본다. 그것은 최신의 한국 사회에서 발현하고 있는 개인화의 과정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시대의 학습자는 왜 짐멜(Simmel)이 양적 개인과 구별한 질적 개인일 수밖에 없는지 논의한다. 그런 후 짐멜이 주창한 개인법칙을 통해 학습자가 개인의 유일성과 자기 자신에 근거한 특수성을 바탕으로 순전히 개인적인 삶을 만들 수 있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우리 교육의 새로운 정언명령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바로 본 연구가 제안하는 학습자의 사회학이 현재의 학교를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의 장소로 전환하는 노력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사회학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aises the issue that the practice of classifying learners into categories in the existing sociology of education no longer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is is because it cannot reflect the demands of our times that emphasize the ability of free self-creation latent in individuals. Education that suits human life that shares interest and meaning of life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requires enhancing the ability to associate with other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educational emphasis on socialization. In order to newly empower individual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abstract society as society grows and becomes more complex, this study examines how a particular but influential conception of society in the West and Korea has lost the individual as a concrete and real entity to a large group such as a nation state or nation. The process of inventing the modern individual paired with the evolution of such a modern society is examined through Western history, and how it has rolled out in Korean society is also is examined. It also includes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that is emerging in the most recent Korean society. Lastly, this study discuss why the learner of our time must be a qualitative individual that Simmel distinguished from a quantitative individual. In addition, through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we discuss how it can be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education in our time to allow individual uniqueness and self-based specificity to create a purely individualized personal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sociology of learners proposed by this study should be a new educational sociology that can contribute to efforts to transform the current school into a place where students and teachers grow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