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 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Impairments in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4.06
9P 미리보기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 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관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수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수면정신생리 / 21권 / 1호 / 5 ~ 13페이지
    · 저자명 : 윤인영

    초록

    목 적:노인성 우울증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동반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인지기능 저하의 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장애가 인지기능 저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치매등의 인지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수면 및 기분,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282명의 65세 이상 노인으로 하였다. 우울증의 평가를 위해노인성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평가하였으며 GDS 점수에 따라 10점 미만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10점 이상 17점 미만을 경도 우울증군, 17점 이상을 중증도 우울증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1회의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객관적인 수면지표를 얻었고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를 평가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CERAD-K 신경심리검사를 통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들의 평균연령, 성별, 내과적 질환 여부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연한은 대조군에 비해 중증도 우울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15). 수면다원검사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통하여 얻어진 수면지표들 중 REM수면시간, 무호흡-저호흡 지수, 산소 탈포화 지수, PSQI 점수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모든 p<0.05).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에서는 단어목록재인검사, 스트룹 색깔 및 단어검사, 벤톤 시각 기억 검사- A, 길 만들기 검사-B에서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모든 p<0.05). 우울증군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에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무호흡증을 제외한 수면장애는 인지기능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령화에 따른 수면장애 및 수면구조의 변화와 연령, 교육 수준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장애의 높은 유병률과 잠재적으로 인지기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를 통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Depressio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impairments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elderly.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have been found to show both poor cognitive performances and sleep disturbanc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elderly depression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decline in late-life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282 elderly people who underwent nocturnal polysomnography in a sleep laboratory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developed by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was appli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with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Results: The control group (GDS≤9) when compared with mild (10≤GDS≤16) and severe (17≤GDS) depression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in the Trail making test part B (TMT-B),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part A (BVRT-A), and Stroop color and word test (SCWT)(all tests p<0.05). The PSQI score, REM sleep duration, apnea-hypopnea index and oxygen desaturation ind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hree groups (all indices, p<0.05).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age and GDS score were predictive for both TMT-B time (adjusted R2=35.6%, p<0.001) and BVRT-A score (adjusted R2=28.3%, p<0.001). SCWT score was predicted by educational level, age, apnea-hypopnea index (AHI) and GDS score (adjusted R2=20.6%, p<0.001). Poor sleep quality and sleep structure alterations observed in depress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deterioration.
    Conclusion: Older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s showed mild sleep alterations and poor cognitive performances. However, we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except sleep apnea) and cognitive difficulties in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It is possible that the impact of sleep disruptions on cognitive abilities was hindered by the confounding effect of age, educ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