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전라좌수영 동헌 고찰 (A Study on Jeollajwasuyeong Dong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6.04
12P 미리보기
조선후기 전라좌수영 동헌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5권 / 2호 / 57 ~ 68페이지
    · 저자명 : 신웅주, 천열홍

    초록

    본 연구는 전라좌수영 동헌일곽에 대한 복원적 고찰을 다룬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8세기 중반을 넘어서 정착된 전라좌수영 내 시설물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일정 영역을 이루며 배치되었고 영성(營城) 내에서 건물별로 기능에 따른 영역을 나누면, 크게 객사-동헌-향청-중영-군청-공방-창고와 하급 관료의 건물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라좌수영의 영역 중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은 객사와 동헌의 영역이다. 객사는 지방수령이 임금을 곁에 모시고 있다는 상징성이 강한 건물로서 75칸의 진남관과 3칸의 중문으로 별도의 담장을 통해서 구획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동헌영역은 객사 북동쪽에 자리하는데, 진입부로 완경루(緩輕樓)와 공사문(公事門), 정변문(靜邊門)이 있고 객사와 마찬가지로 담장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내부에는 동헌이었던 운주헌(運籌軒)이 일곽의 중앙에 놓여 있고, 공무를 집행하던 결승당(決勝堂)과 무권재(無倦齋), 내아(內衙), 책방(冊房), 공수(供需) 등이 설치되었다. 일곽 밖에는 비장청(裨將廳)으로 사용되었던 백화당(白和堂)과 진휼고(賑恤庫), 병고(兵庫)가 동헌영역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동헌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건물은 1664년 이후에 개건된 것으로 보이며 이전의 동헌이 놓였던 자리는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현존하는 진남관(鎭南館)은 선조 32년(1599)에 최초 건축된 이후 숙종 42년(1716)에 소실되어 숙종 44년(1718)에 재건되었으므로 1858년 이전의 운주헌을 비롯하여 1869년에 17칸으로 재건된 운주헌(간숙당)과도 그 역사적인 분모를 공유하고 있다.
    동헌의 일곽을 구성하는 건물 중 중심이 되는 운주헌의 경우도 최소 3차례 이상 재건축되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결승당, 무권재, 백화당 등의 동헌의 일곽을 구성했던 건축물들도 전라좌수영성 내에 지속되지 않았고 최소 1차례 이상 재건되어 1900년대 초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Jeollajwasuyeong Dong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findings are as follows.
    Buildings in Jeollajwasuyeong were completed since the mid-18th century. They formed areas based on functions and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reas. The buildings within Yeongseong included Gaeksa (guesthouse), Dongheon(government office), Hyangcheong(advisory organ), Jungyeong(military camp), Guncheong (county office), Gongbang(workroom), and Changgo(warehouse). There were also buildings for low-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he central part of Jeollajwasuyeong was the areas of Gaeksa and Dongheon. Gaeksa was iconic area where local governors served King and had 75 Jinnamgwan Guesthouses and 3 inner gates. Those were measured off by separate walls.
    The Dongheon area was located in the northeast of Gaeksa. There were three gates such as Wanyeongru, Gongsamun, and Jeongbyeonmun at the entry area, which were also divided by walls like Gaeksa. Unjuheon (Dongheon) was at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Gyeolseungdang, Mugwonjae, Naea, Chaekbang, and Gongsu were built. Outside the area, Baekwadang(used as Bijangcheong), Jinhyulgo, and Byeonggo were composed of part of the Dongheon area. Most of the buildings in Dongheon seemed to be repaired since 1664. It was difficult to locate the area of previous Dongheon.
    In particular, Jinnamgwan was first built in 1599 and destroyed by fire in 1716. In 1718, the building was reconstructed and shared historic denominator with Unjuheon before 1858 and reconstructed Unjuheon in 1869.
    It was found that Unjuheon was reconstructed more than at least three times, which was the central building in Dongheon. The buildings including Gyeolseungdang, Mugwonjae, and Baekwadang in the area were not existed within Jeollajwasuyeong and were reconstructed more than once and maintained until the early 19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