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時代 天台宗 所依 章疏와 「新編諸宗敎藏總錄」 (A Commentaries(章疏) According to Cheontaejong(天台宗)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and the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5.06
36P 미리보기
高麗時代 天台宗 所依 章疏와 「新編諸宗敎藏總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2호 / 101 ~ 136페이지
    · 저자명 : 박용진

    초록

    본고는 義天의 天台宗 開創과 그 당시에 활용되었을 所依 章疏를 「대각국사문집」, 碑文, 「교장총록」 등 제 사료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의천은 숙종 2년(1097) 5월에는 흥왕사 주지를 겸하면서 국청사가 완공되자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숙종 5년(1100)에는 국청사에서 천태 교학을 강하고, 숙종 6년(1101) 2월에는 천태종 승과 대선을 실시해서 40명을 선발하는 등 천태종세를 진작하였다.
    의천의 천태종 개창과 함께 활용된 소의 경전과 장소를 살펴보면, 천태종의 대표적 소의경전은 「妙法蓮華經」이지만, 「열반경」, 「반야경」 등 특정의 경전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또한 천태종 諸 祖師가 찬술한 章疏가 활용되었다. 의천의 천태종 개창 초기 天台敎學은 천태사상의 기본 장소인 「法華玄義」, 「天台十不二門」이 나타난다.
    다음으로 의천의 문집 등에서 언급한 경논 및 장소관과 관련하여 「교장총록」의 배열 내용을 분석하였다. 의천의 경전에 대한 이해는 疏鈔의 효율적 활용을 통하여 가능한데, 「교장총록」의 법화 및 천태 장소의 배열은 疏鈔記科의 위계적 분류 - 著者 시대순 배열 - 신라․고려․遼의 章疏 별도 배열의 독자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천태종의 교관병수와 관련하여 「법화경」을 비롯한 諸經 章疏類를 敎門, 論部의 <諸宗撰述>에 수록된 止觀類 章疏를 觀門으로 유별할 수 있다.
    끝으로 「교장총록」에 수록된 천태종 장소에 대하여 천태종의 개조인 지의로부터 宋初에 이르는 법계를 정리하고, 그들의 저술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천태종 장소가 고려 의천의 천태종 개창 당시 천태종의 종파성립의 所依 章疏의 근간이 되었다.

    영어초록

    Uicheon studied the ideology of Vijñaptimātratā under the Buddhist monk Usang at This paper analyzed the commentaries which are utilized the founding of Cheontaejong(天台宗) by Uicheon(義天).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Uicheon founded the Cheontaejong in 1097(Suk-Jong 2). He lectured the Cheontae Doctrine(天台敎學) at the Kukcheongsa(國淸寺) in 1100. In addition, Uicheon in February 1101 selected 40 monks in the monk-test of the Cheontaejong. Thereby, Cheontaejong evolved. Uicheon used 「saddharma-pundarika-sutra(法華經)」, 「Mahāparinibbānatuttana(涅槃經)」 etc as the basic scriptures of the Cheontaejong. In addition, it utilizes commentaries written by a monk of the Tendai sect. At that times, the Cheontae Doctrine of the Uicheon was focused on Fahua xuanyi(法華玄義), Tientai-Shibuermen (The Ten Aspects of Non-duality 天台十不二門).
    The reception of commentary(章疏觀) by Uicheon appear well in 「Daegakguksa-Munjip (大覺國師文集)」. This paper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through above standard. Uicheon understanded the Buddhist Sūtra through the efficient use of commentaries(疏鈔). The array of commentaries in the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was a unique standard which are So-cho-gi-kwa(疏鈔記科) hierarchical classification, author periodization arrangement, separate placement of Shilla and Koryo, Liao(遼) commentaries.
    In particular, Uicheon placed separately commentaries in relation to Cheontae Doctrine(天台敎學). Uicheon divided into Gyomun(敎門) and Gwanmun(觀門) for the commentaries in the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A commentaries of Gyomun(敎門) consists of the scriptures including 「saddharma-pundarika-sutra(法華經)」 in the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Sautrāntika(經部)」, and that of Gwanmun(觀門) consists of the commentaries of Śamatha and Vipaśyanā(止觀) listed in the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Treatieses(論部」).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lineage of the Tiendai monks of China, and listed the commentaries they wrote. The commentaries of the Tiendai sect became a standard when Uicheon founded the Cheontae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