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치경찰제의 시행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1.02
25P 미리보기
자치경찰제의 시행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9권 / 1호 / 265 ~ 289페이지
    · 저자명 : 김재한

    초록

    최근 검·경수사권 조정에 관한 정부의 입장에는 자치경찰제 운영에 관한 내용도 함께 수록되었다. 자치경찰제는 과거로부터 논의가 지속되어 왔지만,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던 경찰행정의 권한을 지방에 분산시켜 지역주민의 입장을 반영하고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는 치안서비스와 대민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성과는 쉽게 나타나지 않았다.
    현 정부의 등장과 함께 권력기관에 대한 개혁의 바람이 불기 시작하였고, 그동안 불공정 사례와 권한남용의 상처를 남긴 검찰권력에 대한 개혁의 일환으로 수사권 조정 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치경찰제의 도입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결국 2020년 12월 31일부로 「경찰법」이 폐지되고,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전부 개정되어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자치경찰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광역단체장, 국회, 지역 정치인 등 지역토착세력에 대한 정치적 중립성 확보방안에 대한 문제가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민에 대한 여러 유형의 인권침해 문제, 그리고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사무분배나 사건의 책임소재에 대한 문제와 자치경찰제 운영을 위한 재정부담의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여러 대안들을 살펴보면서 국민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자치경찰제도의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해결책들을 모색해 보았다. 앞으로 운영될 자치경찰제도와 관련하여 새로운 제도 도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 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며, 지역주민들과 함께 소통하면서 서로 이해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가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from the position of the government on the adjustment of the prosecution's and police's investigative powers, contents on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cluded togethe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debated since the past. However, achievements of efforts to reflect the position of local residents by distributing the police administration authority, which had been concentra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provinces, and to provide security services and public services tailore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local community were not appeared readily.
    Along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current government, a wind of reform for power institutions began to blow, and as part of the reform of the power of prosecutors, which has left scars of unfair cases and abuse of authority, adjustment of the power of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egan in earnest. Eventually, as of December 31, 2020, 「Police Act」 was abolished, and it was completely revised to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and has been in force from January 1, 2021.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voices of criticism and concern abou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particular, the issue of how to secure political neutrality against local native forces such as governo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local politicians is being discussed the most. In addition, issues of various typ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citizens that may occur in the early stages, affairs distribution of national and autonomous polices, responsibility for incidents, and financial burdens for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ve been rais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ed at various alternative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nd sought solutions to establish an autonomous police system that can be trusted by the public. In relation to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confus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s, and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local residents and understanding each other should be continu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이론실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