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인권과 공공성 문제 (The Problems of Human Rights and Public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7.12
27P 미리보기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인권과 공공성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41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상훈

    초록

    1948년 UN총회에서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하면서부터 쓰인 인권 개념은 자연스레 그 이전까지 사용되었던 ‘자연권(Natural rights)’ 개념이나 ‘인간의 권리(the rights of Man)’ 개념을 대체하였는데, 왜냐하면 ‘자연권’은 논란이 많았던 ‘자연법’ 사상에 기초하고 있었으며 또한 ‘인간의 권리’에는 대체로 여성의 권리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르푸르 학살 사건이나 신정아 사건에서처럼 디지털 시대에 들어 인권 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절박한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 사회나 학계에서의 인권에 대한 논의나 관심은 주로 사회학적 조사와 대증적 요법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인권 문제에 대한 이런 현상적 이해 수준을 넘어서기 위한 이론적 틀들을 세 가지로 정리해 소개하면서, 이들 각각이 갖는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볼 것이다.
    우선, 롤즈의 『만민법』을 중심으로한 자유주의적 이론틀을 인권과 관련지워 소개하면서, 이런 계약주의적 관점이 정당성과 현실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논의 참여자와 논의 주제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서구중심주의라는 비판을 벗어나기 어려움을 지적할 것이다. 다음으로 문화 상대성과 다원성을 인정하는 공동체주의 입론들을 왈쩌를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자유주의 이론틀의 문제점에 대한 공동체주의자들의 대안을 살펴 볼 것이다. 하지만 공동체주의의 관점에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의미지평의 공유와 상호성을 고려하는 ‘얇은’ 보편을 추구하는 것은 국제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절실한 인권 문제에 대해 너무 미온적이거나, 이로 인해 오히려 인권 침해를 방조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 양 입장의 문제점을 피해가기 위해 세 번째로 담론 주체에서의 보편주의와 담론 절차 및 내용에서의 다원적 평등주의를 담고 있는 담론윤리학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담론윤리학을 특징지우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방법과 이상적 대화상황도, 테일러의 지적처럼, 기본적으로 데카르트이래 이어지는 계몽주의의 합리성과 자율적 주체 에 너무 깊이 연루되어 있기에 연대성을 도모하기 힘들다. 따라서 필자는 담론윤리학에서 담론적 방법론과 이상적 대화상황이라는 해결책을 분리하여, 이 중 담론적 방법론에 공공성을 담아내는 것이 도덕적 보편성(moral universalism)과 윤리적 특수성(ethical particularism) 및 제도적 기능성을 현실적으로 고려하여 점진적 상황 개선을 기해갈 수 있는 정당성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expression "human rights" is relatively new, having come into everyday parlance only since the adoption by the UN General Assembly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48. It replaced the phrase "natural rights", which fell into disfavour in part because the concept of natural law (to which it was intimately linked) had become a matter of great controversy. It replaced as well the later phrase "the rights of Man", which was not universally understood to include the rights of women. In this Digital Age, human rights is still crucial issue in the world society as Darfur genocide in Sudan. But human rights issues are mostly dealt in the category of politics or sociology. Therefore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human rights have been usually neglected. I will deal the human rights issues i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which is dominated by three outstanding approaches.
    The first one is liberal theory which has been represented by John Rawls. But his arguments in the Law of People is constrained in the western concept of reason and justice. The communitarian critics to liberalism by M. Walzer and C. Taylor is focusing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of every states. Because the universality has only 'thin' ground, if we want to deal the issues like human rights, they say, we should be careful not to override the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the communitarian arguments underestimates the possibility of the universal approach to human rights.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around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 I will reinterpret the theory of discouse ethics in the vision of new public spheres.
    To solve the problem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 will analyse critically the communicative theory of J. Habermas. Habermas insisted in hi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the beginning stage of bourgeois public sphere had very open dynamic characteristics. I want to reinterpret Habermas' concept of public spheres in the context of Knowledge based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propose a new concept of public spheres which construct genetic concept of human rights in the synthesis of moral universalism and ethical particular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