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헌법의 지향점으로서 평화헌법과 문화국가원리 (The peace constitution and the principles of culture and state as the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03
31P 미리보기
통일헌법의 지향점으로서 평화헌법과 문화국가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6권 / 1호 / 3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흔히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라는 말로 표현한다. 이는 문화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으며, 문화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삶의 질(quality of life)’이란, 국가의 국민이 얼마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며, 생존과 안전, 물질적 풍요에 초점을 맞추던 과거에서 벗어나 행복과 인간다운 삶을 강조하는 의미이다.
    남북은 분단 후 오랜 기간 경쟁체제를 유지한 채 상대를 인정하지 못했다. 이것은 남북간 이질적 체제와 문화를 양산하여 남북한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저해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과 주변국과의 역학관계를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제시되었으나 그 중심에 ‘평화’가 존재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평화는 인간이 추구해 온 보편적 가치이며, 대한민국은 헌법의 제정 시점부터 헌법적 가치로서 평화를 이념적으로 수용하여 발전시켜 왔다. 즉, 지금까지 통일과정에 있어서 이러한 ‘평화’ 중심의 정책은 통일 이후 정권의 변화에 치우치지 않고 헌법상 확정되며, 일국에 편향되지 않고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한 ‘평화헌법’으로서의 통일헌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미래사회는 그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한 예측을 할 수는 없으나, 전통적 군사안보 이슈만이 아니라 환경, 질병, 난민, 테러리즘, 사이버범죄 등과 같은 ‘비전통적 안보(nontraditional security)’의 영역으로 확대될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통일과정에서의 평화와 통일한국의 평화헌법 지향은 우리의 미래세대를 위한 안정적 기반이자 문화국가 형성의 기초가 되며 이는 종국적으로 남북한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이바지할 것이다.
    문화의 개념과 요소는 한 사회와 개개인의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고 중요한 의미로 존재해 왔다. 무엇보다 문화의 개념과 범위가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는 이유는 자율성에 기초한 보호의 영역 혹은 국가가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하는 과제가 부과된 영역이란 의미에서 문화를 논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적 목표설정에서 요구되는 점은 법학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해석해야 할 것이다.
    문화국가원리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국가목표규정 또는 기본권 규정으로 수용되어 민주주의 및 평화주의와 깊은 연관성을 맺으며 정치 · 사회통합을 위해 강조되어왔다. 그러므로 통일헌법의 지향점으로서 평화헌법은 통일한국의 문화국가 형성을 통해 통일한국은 물론 동북아 평화공존체제 형성과 국제평화주의 구현의 기초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Often, the 21st century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century of culture .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erging and that culture can be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After the division, the two Koreas maintained a competitive system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failed to recognize the other. This has produced a heterogeneous system and culture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has hampere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s.
    In this situation, the previous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was presented flexibly in consideration of the dynamics between Nor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but it is clear that “peace” existed at the center of it.
    Peace is a universal value that humans have pursued, and the Republic of Korea has ideologically embraced and developed peace as a constitutional value from the time the constitution was enacted.
    In other words, in the unification process so far, such a “peace”-centered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constitution without being biased toward changes in the government after unification, and it should become a unified constitution as a “peace constitution” that is not biased by the country.
    In addition, the future society cannot be accurately predicted due to its uncertainty, but it is not only concerns the traditional military security issues, but it will expand to the areas of nontraditional security such as environment, disease, refugees, terrorism, cybercrime, etc. It is self-evident.
    Therefore, peac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the orientation of a peaceful constitution of a unified Korea will serve as a stable foundation for our future generations and a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a cultural state, which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s.
    The cultural state principle is not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but has been emphasized for political and social integration, having a deep connection with democracy and pacifism as it has been accepted as a regulation of national goals or basic rights. Therefore as the basic direction of the unified constitution, the peace constitution will be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a peaceful coexistence system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a unified Korea through the formation of a cultural state of a unified Korea and realization of international peace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