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 인권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Military Human Rights Educa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3.08
18P 미리보기
군 인권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양법학 / 34권 / 3호 / 97 ~ 114페이지
    · 저자명 : 최진호

    초록

    대한민국은 분단국가이며 휴전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헌법 제39조에는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방의 의무를 지며 누구든지 병역의무의 이행으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군은 일반 사회에 비해 폐쇄된 공간과 엄격한 규율 및 위계질서로 인해 인권침해와 관련된 사안들이 쉽게 외부로 알려지기가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수많은 군내 인권침해관련 사건이 꾸준히 드러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군 인권 관련 제도도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군 인권에 대한 교육이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과 군 인권교육 교재 및 강의자료 등의 적절성 또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인권교육의 경우 병사의 24.7%가 최근 1년 이내 인권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여군의 경우는 17.2%, 간부(남군)의 경우에는 7.8%가 이수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국군 인권교육 교재에 담긴 표현이나 내용에 왜곡된 인권 의식이 있어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내용이 언론에 보도된 적이 있으며 인권교육에 대한 효과 또한 많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군 인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 후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군 인권교육의 근거가 되고 있는 법령들을 살펴본 후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 지휘관·참모의 인권의식 변화를 위해 사관생도 및 사관후보생의 교육과정 개선사항을 검토하였으며, 군 인권교육 대상에 대하여 계급별, 신분별 어떠한 교육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적절한 교육 콘텐츠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에 대해 논하였다.
    군 인권교육제도의 개선방안을 논하는 이유는 군인의 인권의식 신장에 있다. 인권은 전·평시 달리 적용되는 것이 아닌 평상시 군대가 보호해야 하는 가치인 것이다. 이러한 의식이 군 지휘부에서부터 시작하여 말단 병사들에게까지 이르게 된다면 지금의 군대 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인권침해의 행위가 거의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인권을 바라보는 의식변화를 통해 관련 법령들을 개정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인권에 대한 인식들이 효과적으로 군인 개개인들에게 와닿을 수 있도록 군 인권교육 콘텐츠를 개선한다면 군의 진정한 존재목적인 전쟁억제와 평화유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public of Korea is a divided country and also a truce country. For this reason, Article 39 of our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all citizens shall fulfill the duty of national defense as prescribed by law, and that no one shall be subjected to disadvantageous treatment due to the fulfillment of military service duty. However, issues related to human rights violations are not easily known to the outside world in the military due to the closed space and strict rules and hierarchical order compared to the general society. As a result, numerous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military are constantly being revealed, and at the same time, the military human rights-related system is being improved.
    However, the question of whether such education on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is being carried out well in rea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extbooks and lecture materials for military human rights education are also subject to controversy. In the case of human rights education, 24.7% of soldiers responded that they had not completed human rights education within the past year, while 17.2% of female soldiers and 7.8% of officers (male soldiers) responded that they had not completed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in the media that there is a distorted human rights awareness in the expressions and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textbooks for the Armed Forces, and that this needs to be correc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general contents of military human rights educ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First of all, after examining laws and regulation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military human rights education, matters to be improved were derived, and improvements in the curriculum of cadets and cadets were reviewed to change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commanders and staff.
    The reason why we are discussing ways to improve the military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is to raise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among soldiers. Human rights are not differently applied during wartime and peacetime, but are values that the military must protect in normal times. If this consciousness starts from the military command and reaches the lowest level soldiers, it is thought that the current act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military will almost disappear. If the education process can be improved by amending related laws through this change in human rights awareness, and if the military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are improved so that these human rights awareness can effectively reach individual soldiers, the military's true purpose of existence, war deterrence and peacekeeping, will be achie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양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