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권자책임의 정당성 근거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Creditor Responsibi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3.08
52P 미리보기
채권자책임의 정당성 근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40권 / 2호 / 153 ~ 204페이지
    · 저자명 : 박진아

    초록

    계약의 이행과정에서 채권자측의 사정으로 계약이익의 실현이 방해를 받은 경우 채권자가 어떤 책임을 지게 되는가에 대해 종래 우리 학설에서는 주로 채권자에게 수령의무가 존재하는가 하는 관점에서 수령지체를 논하고, 이에 관해 법정책임설과 채무불이행책임설의 대립이 논의의 중심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제적으로 계약책임의 현대화가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수령지체라고 하는 틀을 넘어 계약에서 채권자가 수령 그 밖에 필요한 협력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계약규범이나 계약책임규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관점에서 재검토를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을 포착해 채권자측의 행위로 인해 계약관계설정 당시에 상정되었던 것과는 다른 사정이 발생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책임체계의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을 시도한 것이다.
    계약관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채권자가 계약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성실하게 협력하는 것이 계약의 내용으로 포함되어져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채권자에게도 계약이익의 결과실현을 위해 성실하게 행동하는 채무자의 지위를 지원하기 위해 변제에 협력하여야 할 규범적 구속이 부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규범적 구속은 계약의 경우에는 계약이익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므로, 그런 의미에서 계약의 해석 내지는 법규의 적용을 통해 계약이익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확정해 나가는 것이야말로 중요하게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독일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콜러(Kohler)의 권리명제이래 ‘채권자는 권리만 가지고 의무를 지지 않는다’는 사고가 민법전이나 학설에 의해 승인된 탓에, 채권자의 규범적 구속은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으로 엄격하게 해석되어 수령지체책임의 효과를 논함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여왔던 것이다. 그러나 채권자의 규범적 구속의 정도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채무불이행의 통상적인 효과도 또 수령지체의 고유한 효과도 채권자의 규범적 구속에 대한 위반으로서 통일적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도출된다.

    영어초록

    Regarding the responsibilities a creditor assumes when the realization of contractual benefits is impeded due to circumstances on the creditor's side during contract fulfillment, traditional academic theor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issue of delayed receipt from the perspective of whether the creditor has an obligation to receive payment. This has led to a central debate between the theory of legal responsibility and the theory of default liability. However,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n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modernization of contract liability. Beyond the notion of delayed receipt, there is a growing movement to reevaluate the impact of the creditor's failure to engage in other necessary cooperative actions for receipt within the contract on contract norms or contract liability norms.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s to lay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new system of responsibility by capturing this trend, focusing on cases where circumstances different from those assum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arise due to the actions of the creditor.
    In a contractual relationship,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creditor's faithful cooperation to realize the contractual benefit is inherent in the contract's content. Additionally, the creditor is also bound by a normative constraint to cooperating in reimbursement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debtor who acts faithfully to achieve the contractual benefit. And since these normative constraints are derived from contractual interests in the context of contract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at contractual interests ar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ontracts or the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in Germany, Japan, and Korea, the idea proposed by Kohler that 'creditors only have rights and do not bear obligations' has been approved by civil law and legal scholarship. As a result,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 normative restraint on creditors has been strictly interpreted, leading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cussions concerning the effects of liability for delayed receipt. Nevertheless, if we consider that there might be variations in the degree of normative restraint imposed on creditors, it leads to the possibility that the typical effect of default and the distinctive effect of delayed receipt could be uniformly interpreted as violations of creditors' normative restra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