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인 주식회사와 배임죄 (Single-Shareholder Company and Breach of Trus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8.07
49P 미리보기
1인 주식회사와 배임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법률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법률 / 28권 / 4호 / 97 ~ 145페이지
    · 저자명 : 유주선, 이정민

    초록

    주식회사는 자본회사로서, 자본회사는 인적회사와 달리, 회사의 존속이 2인 이상일 것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 주식회사에서 지분의 전체가 한 사람의 주주에 의하여 소유되고 있는 상태가 바로 1인 주식회사이다. 이러한 1인 회사의 주주가 전체 지분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이사가 되어 업무집행을 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 SPP사례는 1인 회사의 계열사 지원에 대한 배임죄 성립여부가 문제되었던 사례이다. 사실상 본인의 회사가 여러 개인 경우, 1인 회사 한 곳의 자금을 다른 회사의 채무변제를 위해 사용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과거 판례는 1인 회사에 있어서 행위의 주체와 그 본인 및 다른 회사는 별개의 인격체이므로, 주식회사 소유의 금원을 임의로 다른 회사에 소비하면 횡령죄가 성립되고, 자기 소유 1인 회사 한 곳의 자금을 자기 소유의 다른 회사의 채무변제를 위해 사용한 경우, 배임죄 성립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최근 SPP판례(2015도12633)에서는 1인 회사의 계열사 지원의 경우, ① 계열회사들이 실체적 측면에서 결합되어 공동이익을 추구하고 ② 지원행위가 계열회사들의 공동이익을 도모하고, ③ 지원할 회사의 선정이나 지원 규모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고 ④ 지원행위가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방법이며, ⑤ 지원하는 회사가 그에 상응한 적절한 보상을 객관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면, 경영판단의 재량범위 내에서 행해진 행위로써, 가해의사가 부정되어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이처럼 1인 회사의 경우, 대표이사가 주주이고, 주주가 동의한 경우로써, 주주입장에서 보아, 손해발생의 고의가 없기 때문에 배임죄를 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손해는 1인 회사 전체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손해가 없었고, 손해발생의 고의가 없었다면 배임죄는 성립할 수 없다. 다만, 대표이사의 이러한 행위는 선관주의의무나 충실의무 위반에 해당하여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경우 손해배상책임을 질 수 있고, 손해가 발생하였고, 손해발생에 대한 고의가 있었다면 업무상 배임죄도 성립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업무상 배임죄로 기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이유는 오랫동안 손해발생의 위험만으로도 배임죄를 인정해 왔기 때문이다. 과거 “손해발생의 위험”으로 “손해”를 인정할 때, 검사는 손해액 및 인과관계를 입증하지 않아도 되었다. 손해액 및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면, 미수가 인정될 것이다. 1인 회사의 배임죄 성립에 있어서도 구성요건인 손해발생, 손해발생의 고의가 인정될 때 비로소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A corporation is a capital firm, unlike personal company or personengesellschaft, which does not require two or more personnel for being existence itself. One man company is the company of which all shares are owned by a sole shareholder. In case of operation of one man company, the sole shareholder would have all the shares of the company, and become a director managing the company. In recent SPP case, the issue was whether one man company supporting the affiliate subsidiary company could be charged with breach of trust or not. There could be a case where a sole shareholder actually owns several companies, and fund of one of the companies could be used for the repayment of debt of another company under the same management of the sole shareholder. In the past, the sole shareholder and the one man company were regarded as being separate independent personalities, thus, if the sole shareholder consumes the money of the one man company for his own sake, he could be charged with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could also be issued as well if the company would suffer monetary damage(96도 1525 judgment).
    In the recent SPP case(2015도 12633) where one man company is providing monetary supporting to affiliate company, the judgment was as follows: Breach of trust shall not be triggered as it was done without the intention of damage according to business judgment rule, if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① Affiliate companies shall pursue the common interest, practically combined together; ② Monetary supporting by one man company is pursuing the common interests of the affiliates; ③ Selecting the supported company and the size of supporting shall be objective and reasonable; ④ The supporting activity shall be done in the normal and legally allowable practice; ⑤ Appropriate reward could be expected objectively considering all the outside conditions.
    As seen above, in case of one man company’s operation, if the sole shareholders confirms or agrees, the intent of damage could be denied, and then the breach of trust shall be denied accordingly. The assessment of damage shall be done in the perspective of the one man company considering all the aspects of interests. If there were no damage, and no intension of damage, the breach of trust shall not be triggered. Beside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could be responsible to compensate the damage, if he does harm to the company by breaching the duty of the faithfulness or duty of care. Practically, there are many cases which were accused or indicted as breach of trust despite the criminal principle of subsidiarity. This is because it would help to gather evidences in a short time that could be used in the civil cases with the help of public investigation agency. On the other hand, as professional breach of trust would have been triggered by mere probability of damage, or without proving the causation and damages, there have been many civil cases as well as criminal cases raised. However, basically, profit or loss arisen from transactions between companies shall be managed in the area of civil responsibility. The principle of criminal complementation shall be abided by in any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