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개와 왜곡: 장애인은 내러티브 기사에서 어떻게 재현되는가? (Mediation and Distortion: How are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mbodied in the narrative repor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4.12
22P 미리보기
매개와 왜곡: 장애인은 내러티브 기사에서 어떻게 재현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30권 / 4호 / 127 ~ 148페이지
    · 저자명 : 송상근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이 언론에 어떻게 나오는가를 새로운 스타일의 신문 기획물인 내러티브 기사를 통해 알아보고, 장애인에 대한 보도의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 보도와 내러티브 기사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고, 동아일보의 ‘내러티브 리포트’ 중에서 장애인이 주인공인 기사 20편을 선별하여 인물의 특성, 이야기 전개방식, 제목과 본문의 어휘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장하는 장애인이 남성 위주이며, 이들이 일상적인 노동이나 학업보다는 스포츠를 통해 역경을 극복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둘째, 장애인의 삶을 ▶예상하지 못한 장애 ▶슬픔의 시작 ▶역경의 극복이라는 정형화된 프레임으로 소개하였다. 셋째, 장애인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실패보다는 성공, 절망보다는 희망과 관련된 어휘를 집중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장애인의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모든 장애를 동일한 범주에 넣고 분석하였는데,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분석대상과 기준을 세부적으로 정한다면 장애인이 언론에 재현되는 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려는 정부의 정책이나 장애인 단체의 활동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crip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media via feature articles, ‘Narrative Report’ from Donga-Ilbo, further making suggestions to improve the report concerning the minority group. Based on the reviews of the current discussion on the report 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nalyzes the protagonist’s attributes, story developments, and lexicons used in the selected 20 narrative reports.
    The analysis is consisted of three parts:Firstly, the attribute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Narrative Report’ underlined the particular gender, age and occupations, guiding the story to a certain direction unconsciously or deliberately.
    Secondly, the fixed pattern of story developments. Reports were kept within a stereotypical pattern of ‘sudden advent of disabilities-beginning of the despair-triumph over adversities’.
    Lastly, the usage of vocabularies. From titles to bodies, positive terms such as ‘dreams’, ‘hope’, and ‘challenge’ were used to emphasize success rather than failure, hope, rather than despair. This fails to get the bird-eye view of the general realistic hardships and realit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three important components of articles are story, terms and framework. Yet, the narratives abou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acks impartiality and reality as the components were severely biased and stereotypical. This study regarded all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in the same category. Yet, taking the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ies into consideration would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mbodied in the media, possibly providing meaningful source of government policy and NGO’s agenda-set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