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월혁명기와 5⋅16 이후 부두노동조합 재편 과정과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동향 (Reorganization of Docker’s Union and Movements of Union Leadership during the Period of April Revolution and after the May 16th Military Coup)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2.03
36P 미리보기
4월혁명기와 5⋅16 이후 부두노동조합 재편 과정과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호 / 149 ~ 184페이지
    · 저자명 : 임송자

    초록

    일제시기 항만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노무조직이 노동조합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였다. 노동조합은 십장에 의해 고용된 노동자들이 그들의 작업권한을 지키기 위해 십장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일제시기에 존재한 십장제는 해방 이후에도 그대로 온존하였다. 중간관리자 십장은 대개 노동조합 분회장을 맡고 있었으며 하청업주로 군림하여 노동력 공급, 작업배치, 노무관리 등의 권한을 행사하였다.
    십장제에 대한 비판운동은 195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비판운동은 대한노총 내 정대천 세력과 김기옥 세력 사이의 연합과 대립관계에서 일어난 측면이 강했다. 결국 세력 대결에서 정대천 세력이 헤게모니 장악에 실패하였으며, 김기옥을 중심으로 확고한 1인 집권체제가 형성되어 4월혁명 이전까지 권력을 장악하였다.
    한편 부산부두노조에서도 1950년대 후반 김기옥의 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비판하는 반김세력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1958년 11월에 정대천 세력이 폭로한 비료조작비 횡령사건을 계기로 정대천 세력과 연결하여 김기옥에 대한 비판운동을 전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반김운동은 자유당의 개입으로 좌절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4월혁명의 공간은 1950년대 후반 반김운동을 전개하던 노동세력의 운신 폭을 넓혀주었다. 정대천은 구세력이라는 지탄을 받으며 노동계를 떠났지만 부산부두에서는 반김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조직을 재정비하고 김기옥 세력을 제거하는 한편 조합운영을 체계화시켜 나갔다. 이들 세력이 조합운영의 방향을 조합원의 직접⋅비밀투표에 의한 분회장 선출, 작업반장의 임명제 폐지, 조합원의 직접투표에 의한 작업반장 선출 등으로 설정한 것은 1950년대 후반에 전개된 반김운동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5⋅16 이후에는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조나 자유연맹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했던 인사들이 일선에서 후퇴하고, 자유연맹에서 사무국장으로 재임했던 이춘희가 전국부두노동조합 위원장에 선출됨으로써 새로운 판도를 형성하였다. 새롭게 형성된 노동세력은 결성대회에서 채택된 4대 시정방침에 따라 조직운영 체계를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조합원 등록제를 실시하고, 중간착취의 온상이 되었던 반장제를 폐지하고 연락원제도를 도입하였다.
    등록제에 의한 노동자 윤번배치는 노동조합의 자주성, 민주성 여하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5⋅16 이후 조직된 지부나 분회는 전국부두노동조합 위원장 이춘희가 위촉한 조직위원에 의해서, 그리고 조직위원이 포섭한 조직요원에 의해서 단기간에 하향식으로 급조되어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토대를 갖추지 못하였다. 연락원제도는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조에서 운영한 내용과 비교하여 진일보한 면이 있었지만 연락원을 “분회장 추천으로 지부장”이 임명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조합원들에 대한 인사권 행사, 중간착취 등을 차단하기에는 미흡한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과거의 폐단은 쉽사리 제거되지 않았고, 1960년대까지 온존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reorganizing and activities of National Free Labor Union during the period of April revolution, and its reorganizing toward National Docker’s Union and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tations in union leadership and its attitudes from the April revolution to the May 16th military coup.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at labor group developed criticism campaign on foreman system which has been generat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how the campaign has been unfolded.
    April revolution could give labor group that unfolded anti-Kim giok campaign more leeway to move. Representative figures in anti-Kim campaign used their influence in wharf at Busan. They set up the direction in union operation to have branch chairman election with direct and secret vote by union members, abolition of work party leader’s appointment, and election of work party leader with direct vote by union members. It is thought that their direction was extension of anti-Kim campaign.
    National Union’s Council was reorganized into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FKTU) after May 16th military coup. Dockers’ union was also reorganized into National Dockers’ Union, a industrial union, on September 20 in 1961. Newly Reorganized labor group tried to change it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4 administrative policies which were decided upon in its organization conference. Member’s registration system was put into practice. Working party leader system which was a hotbed for intermediary exploitation was abolished and contact man system was initiated. New executives’ will to change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was originated in anti-Kim campaign in the latter part of 1950s and organizing experience during the April revolution. However,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like that was so nominal that foreman system retained its many evils until 1960s.
    National Dockers’ Union could not remove hotbed for intermediary exploitation. It meant clearly that reform never could succeed with only the will of leaders in upper organization. FKTU and industrial union under the FKTU were organized in top-down style without getting rid of deep rooted structural contradiction in subordinate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will to reform could not help regressing as labor organization was rearranged to the exclusion of Kim Mal Ryong’s National Union’s Council group which took the lead labor movement during the April revolution. Subordinate organizations were built in haste, so it failed to gain reformative labor leaders. The limit like that still worked in 1970s followed 1960s, so it became the major factor to define trade union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