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원법상 시간외근로수당 산정을 위한 月의 소정근로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thly Standard Hours for Calculating Overtime in the Seafarers’ Ac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4.11
32P 미리보기
선원법상 시간외근로수당 산정을 위한 月의 소정근로시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법학회지 / 36권 / 2호 / 351 ~ 382페이지
    · 저자명 : 전영우

    초록

    이 논문은 노사간 핵심쟁점으로 부각된 시간급 통상임금과 관련하여 선원법상 월의 소정근로시간의 산정에 관한 해석론적 연구를 통하여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사간 합의 하에 일정한 금액을 시간외근로수당을 지급하는 이른바 포괄임금제가 실시되고 있으나, 본래 포괄임금제의 취지나 목적에 부합되게 운용되지 못한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실제로 발생한 시간외근로시간에 비하여 일정액을 시간외근로수당으로 지급하는 제도상의 시간외근로시간이 현저하게 적다면 이는 유효한 것으로 인정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기존의 학설이 휴일에 대한 명시적 규정의 삭제를 선원에게 부여되었던 유급휴일이 없어진 것으로 보고 있는 점에 대하여 법률상 명시적 규정이 없을 경우에도 해석론을 통하여 법률이 의도하는 바를 보충하여 선원에게 부여되고 있는 휴일이 무급인지 유급인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셋째, 선원법의 연혁적 검토 결과 종전 선원법 제128조에 따라 준용되었던 근로기준법상의 주 1일 유급휴일은 1984년 선원법의 개정으로 누락되었으나, 당시 선원법이나 그 후의 법령상 임금의 하향이 없었으므로 개정 선원법에도 계수되었다고 봄이 타당하다.
    넷째, 1일 8시간, 1주 40시간 근로제 검토 결과 1일 8시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근로한 경우 주 2일의 주휴일이 부여된다는 의미하며, 주 2일의 휴일 중 1일은 유급휴일이 되고, 나머지 휴일은 당사자의 약정에 따라 유급 또는 무급의 휴일이 된다. 선원법의 경우, 동법 제71조에 따라 공휴일인 일요일을 유급휴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선원법상 토요일은 당사자 간의 약정휴일에 해당하고 당사자가 유급휴일로 한다는 특약이 없는 한 무급휴일이 된다고 보아야 한다.
    다섯째, 공휴일의 무급 또는 유급 여부 검토 결과 우리 선원법이 유급휴가에 포함된 공휴일은 유급휴가 사용일수에 포함하지 하도록 하여 이를 추가하여 휴가를 부여하도록 하고 전체 기간에 대하여 유급휴가급을 지급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것에서 공휴일 등은 무급휴일이 아니라 유급휴일임이 명확하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선원법상 월의 소정근로시간수는 월의 소정근로일수에 1일의 소정근로시간을 곱한 시간으로 명정하고 있다. 따라서, 월의 소정근로일수는 주당근로일수 6일[(주40시간 ÷ 8시간/일) + 주휴1일]에 1년의 주수(52.142주)를 곱하고 그 값을 12월로 나누어서 계산하여야 하는 바, 그 결과는 26.07로 계산된다. 여기에 1일의 소정근로시간(8시간)을 곱하면 약 209시간으로 산정된다.
    이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이 노사간 큰 쟁점으로 부각된 월의 소정근로시간수와 포괄임금제와 관련한 우리 선원법에 대한 노사정의 이해를 증진하고 나아가 노사간에 타협과 협상을 통하여 해결을 하는데 있어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resolution of crucial issues through making interpretative study on the calculation of monthly standard hours under the Seafarers’ Act in relation to monthly ordinary wages which has recently been raised as a key issu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in which fixed amount of money is paid as overtime allowances under a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between social partners has been widely applied.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system has not been operated in a way to commensurate with its intent or purpose. It would not be acceptable to be valid if the fixed overtime hours are remarkably less than those of actual overtime working hours.
    Second, against the existing theory in which the deletion of the express provisions of a day off per week was regarded as elimination of paid day off having been granted to seafarers, the author considers that even if the express provisions are not provided in the Seafarers’ Act, it is necessary to reveal whether the day off per week granted to seafarers is paid or unpaid by supplementing the intent of the Seafarers’ Act through making interpretative study.
    Third, as a result of historical study on the Seafarers’ Act, a paid day off per week under the Labour Standard Act which was made applicable mutatis mutandis to seafarers by the Article 128 of the past Seafarers’ Act was deleted by the amendment to the Act in 1984 but it is resonable to say that the paid day off per week was impliedly remained and embodied in the amended Act since seafarers’ wages was not reduced under the then and thereafter Seafarers’ Act.
    Fourth, as a result of study on the system of 8 hours per day and 40 hours per week, 2 days off per week would be granted to the seafarers when they have worked 8 hours day from Monday to Friday. Of 2 days off per week, 1 day is paid and the rest day would be either paid or unpaid according to the contract concluded by both parties. In case of the Seafarers’ Act, it is resonable to say that Sunday as a public holiday is the paid day off under the Article 71 of the same Act and Saturday is the day off under the contract of both parties and should be regarded as unpaid day off unless they expressly concluded it as paid day off.
    Fifth, as a result of study on whether public holidays are paid or unpaid, one can say that it becomes apparent that the public holidays, etc. are not unpaid but paid day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elevant provisions stipulate the public holidays included in paid leave shall not be counted as used paid leave and be added up to the original paid leave and the total leave period shall be paid.
    Sixth, the Seafarers’ Act expressly stipulates that the monthly standard hours is monthly standard days times daily standard hours. Thus, monthly standard hours is weekly working days - 6 days[(40 hours week ÷ 8 hours day) + a day off per week] times the average number of weeks of 1 year(52.142) and then the value of this multiplication is to be divided by 12 months in which case the result is calculated as 26.07. Again if the value is to be multiplied by daily standard hours(8 hours) then about 209 hours can be obtain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seafarers, shipowners and Government about the Seafarers’ Act in relation to monthly ordinary wages and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which have recently been raised as major issues between social partners and moreover to help them to resolve the issues through compromising and negotiating betwee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