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성 회복과 윤리적 삶을 위한 미디어 연구: 실버스톤의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가 제시하는 미디어 연구의 방향과 책무 (Media Studies for Humanity and the Ethics of Everyday Life: An Introductory Appreciation of 『Why Study the Media?』by Roger Silverston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09.12
38P 미리보기
인간성 회복과 윤리적 삶을 위한 미디어 연구: 실버스톤의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가 제시하는 미디어 연구의 방향과 책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 이론 / 5권 / 2호 / 222 ~ 259페이지
    · 저자명 : 김세은

    초록

    우리는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 이 글은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를 중심으로 현대 사회의 미디어와 미디어 연구에 대한 로저 실버스톤의 사유와 논의를 짚어봄으로써 우리가 미디어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고자 하 는 목적을 지닌다. 미디어를 연구하면서도 정작 ‘왜’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았던 우리의 둔감함과 안이함에 대한 반성이 그 출발점이다. 실버스톤에 따르면, 미디어
    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미디어 연구 역시 더 이
    상 주변적인 학문 영역이 아닌 중심 학문이(되어야 한다)라는 것이다. 세계화로
    일컬어지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흐름은 우리의 경험이 미디어의 매개 없이는 의
    미를 가질 수 없게 하며, 타자에 대한 이해는 더더욱 어렵게 만들어 가고 있다. 실
    버스톤이 제시하는 미디어 연구는 인간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심 학문으로서
    의 미디어 연구는 무엇보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윤리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필수
    라고 실버스톤은 주장한다. 미디어 연구에 철학과 역사 등 인문학적 접목이 필요
    한 이유, 또 인류학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실버스톤이 제안하
    는 ‘미디어폴리스’는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타자에 대해 배우며 서로에 대
    해 책임을 지는 매개된 공간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폴리스를 위한 초석
    이 되는 중요한 기획이다.

    영어초록

    Why do we study the media? Why media studies at this stage? This paper starts from the regression of our insensibility and easygoing way of intellectual life without thinking the true reason of doing media studies. Roger Silverstone points out the paradox around the media and media studies; no one denies the centrality of the media in our everyday life, however, they hardly admit the importance of media studies. Silverstone’s critical question provokes the debates not only on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osition of the media but also of the media studies. His argument gives a clear orientation for media studies for humanity and morality. Silverstone sees the media as environment, general texture of experience, and, therefore argues that the media should provide a proper distance to think our reciproc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We, users or consumers in this globalized post/modern world, according to him, need to regard ourselves as players and performers as well,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the media’s signifying strategies such as rhetorics, poetics and erotics, media literacy in other words. In so doing, we may understand, engage and trust the Other and make a further step towards the public sphere and open society in the mediapol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