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문 고전소설의 현대역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to Modern Languag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국문 고전소설의 현대역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4호 / 47 ~ 78페이지
    · 저자명 : 조현우

    초록

    이 글은 고전소설이 어떻게 하면 현대의 독자들에게 더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를 현대역과 관련지어 고찰했다. 이를 위해 고전소설을 가독성 높은 현대역 텍스트로 만든다면 현대의 독자들도 이를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라는 널리 알려진 생각을 재검토했다. 고전소설이 가진 다양한 가능성을 철저하게 탐구해야 그것의 현대역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논의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국문 고전소설 현대역의 몇몇 사례들을 들어 가독성을 높인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검토했다. 가독성을 높이는 일은 흔히 쉽게 풀어쓴다는 것을 뜻하지만, 그 속에는 특정한 방식의 읽기, 즉 묵독으로만 이해한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3장에서는 국문 고전소설에서 무엇을 번역할 것인가의 문제에 집중했다. 현대역이 같은 언어 내에서 이것을 저것으로 바꾸는 것일 뿐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의 바탕에는 출발언어의 어떤 단어와 도착언어의 번역어가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국문 고전소설의 번역은 언어내, 언어간, 기호간 번역의 성격을 모두 갖고 있는 복합적 성격의 것이다. 이는 국문 고전소설이 가진 독특한 매체적 특성과 그 향유의 복합성 때문에 생겨난다. 따라서 국문 고전소설의 번역을 축어적 의미 전달에만 국한시키면, 이는 국문 고전소설의 온전한 번역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번역이란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종류의 언어로 옮기는 일이다. 따라서 국문 고전소설의 좋은 번역을 위해서는 그 상황, 목적, 언어에 적합하게 옮겼는가의 문제를 따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하나의 텍스트에 대해 가장 이상적인 특정 번역본이 있다고 믿기보다는, 그 목적에 얼마나 부합하는가에 따라 생겨날 수 있는 다양한 좋은 번역 텍스트들의 존재를 긍정한다. 결국 현단계에서의 핵심적 문제는 국문소설의 번역을 위한 이론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또 그 이론은 번역학뿐만 아니라 기호학, 담화이론, 매체론 등이 결합된 복합적인 이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classical novels can be appreciated by modern readers when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 Accordingly, I reviewed the renowned idea that modern readers would enjoy classical novels if they were translated into readable text. In Chapter 2, I examined the meaning of increased readability by citing examples of Korean classics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 Increasing readability often means that it is written to easily read and understand, but it is based on the idea that complete comprehension is possible in a certain way, that is, by reading silently. In Chapter 3, I discussed the important elements that should be translated in classical novels. I believed that translations into modern language should not be simply changes from one element to another within the same language. The background for this idea is the possibility of a one-to-one response between any word from the original language and the translation into the receiving language. According to Jakobson,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a complex nature with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kinds of translation: intralingual translation, interlingual translation, and intersemiotic translation. These characteristics are attributed to the unique medium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complexity of their enjoyment. Therefore, if the translation of a Korean classic is limited to the communication of its exact meaning, this makes it impossible to complete without misinterpreting the text. Translation is the transfer of a particular type of language from a specific situation for a unique purpose. Therefore, the question should be, is a good translation of a classical Korean novel done appropriately to suit its context, purpose, or language? This view affirms the existence of various good quality textual translations that can arise depending on how well they serve their purpose, rather than believing that there is a particular translation that is most ideal for a specific text. Eventually, the main issue at this stage is the need for a theory on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addition to translation, the theory should be a combination of semiotics, discourse theory, and media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