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On the Semantic 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in Complex Word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4.06
31P 미리보기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70호 / 85 ~ 115페이지
    · 저자명 : 최형용

    초록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 관계와 같은 계열적 의미 관계는 어휘 사이뿐만이 아니라 복합어의 내부 구성 요소 사이에서도 발견된다. 이러한 의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직접 성분 분석이다. 이를 통해 발견되는 의미 관계는 결합되는 구성 요소의 어종(語種), 전체 단어의 품사, 구성 요소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단어 형성 과정으로 세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유의 관계 복합어들은 ‘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 ‘한자(어)+한자(어)’의 모든 가능한 어종 구성을 보이며 품사도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뿐만이 아니라 관형사에서도 발견될 만큼 구성요소들 사이에 의미 관계를 보이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이다. 단어 형성에서는 합성과 파생을 비롯한 합성어의 파생, 파생어의 합성과 같은 다중적인 경우를 모두 보일 뿐만 아니라 조사 혹은 어미가 결합한 경우도 반의관계, 상하 관계보다 가장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다음으로 반의 관계 복합어는 어종의 측면에서 ‘한자(어)+한자(어)’, ‘고유어+고유어’의 결합이 가장 일반적이며 품사의 측면에서는 관형사 등을 찾을수 없다는 점에서 유의 관계 복합어보다 그 종류가 많지는 않다.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는 유의 관계를 보이는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역시 다중적인 단어 형성 과정을 보이며 조사 혹은 어미가 결합한 경우도 발견된다. 그러나반의 관계를 보이는 요소들이 하나의 어휘장을 이루며 다시 단어로 결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유의 관계 복합어, 상하 관계 복합어와 차이가 있다. 또한 ‘직간접’과 같이 동일 요소가 삭제되어 단어 형성을 이루는것은 반의 관계 복합어에서 가장 빈번하고 ‘호불호’와 같이 부정 접두사 결합어가 다시 결합하는 경우는 반의 관계 복합어에서만 보이는 특징이다.
    끝으로 상하 관계 복합어는 유의 관계 복합어나 반의 관계 복합어에 비해 가장 적은 수의 단어를 보유하고 있으나 어종의 측면에서는 유의 관계복합어와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품사의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예들이명사에 속하고 동사의 경우도 찾을 수 있지만 유의 관계 복합어보다는 그종류가 제한되어 있다. 상하 관계 복합어도 다중적인 단어 형성 과정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는 유의 관계 복합어, 반의 관계 복합어와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무넘깃둑’, ‘날치기꾼’처럼 행위의 결과가 사물이나 사람이 되는경우 이러한 의미를 포함하는 ‘둑’이나 ‘-꾼’과 같은 요소들과 다시 결합하여 상하 관계를 보이는 것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상하 관계 복합어가 가지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처럼 단어 내부에서 구성 요소들이 보이는 다양한 의미 관계는 화자들이 단어를 형성하는 기제로서 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곧 그동안 어휘의미론의 전유물이었던 의미 관계를 형태론에서도관심사로 삼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Semantic relations between words can be found between elements in acomplex word through immediate constituents analysis. These semanticrelations can be captured in details with the help of word-kinds ofconstituent elements, parts of speech of complex words, and word-formationprocess in combin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Firstly, complex words in syn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show the construction of ‘native Korean + native Korean’, ‘native Korean +sino-Korean’, and ‘sino-Korean + sino-Korean’ in the aspect of word-kinds.
    In parts of speech, they are scattered across noun, verb, adjective, adverb,and adnominal. They exhibit josa-combination and ending-combination aswell as multiple word-formation process such as derivation of compoundand compound of derivation.
    Secondly, complex words in ant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elements show similar aspects with complex words in synonymous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in word-kinds but typical in ‘nativeKorean + native Korean’ and ‘sino-Korean + sino-Korean’. In parts ofspeech, I cannot find adnominal in comparison with complex words insyn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They also show thevarious word-formation process like complex words in synonymous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But the word-formation in relationwith lexical field and the deletion of common elements can be seenonly in complex words in hyp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Lastly complex words in ant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have the smallest scale relatively. However, they show variousword-kinds like complex words in syn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elements. In parts of speech, almost all of them belong to noun. Theyalso show the various word-formation processes like complex words insynonymous rel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But when the result ofaction also means things or person, elements which have more inclusivemeaning than remaining elements are often introduced to form newwords.
    These phenomena suggest sufficiently that morphology can haveinterest in sematic relation which have been exclusively restricted inlexical semantics so 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