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홀리스틱교육의 시각에서 본 '꿈, 끼, 행복교육'

이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현 교육과정의 지표인 ‘꿈과 끼를 기르는 행복교육’[꿈, 끼, 행복교육]의 의미를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리스틱 교육은 관계성을 근본으로 하는 접근으로서, 인간교육이란 자기가 속한 지역공동체와 전 지구적 공동체 그리고 자기 내면세계와의 관계성의 중요성과 그 영향을 학생에게 인식하게 하고 실천하게 하는 것이다. ‘꿈과 끼를 기르는 행복교육’의 특징은 이타실천을 통한 더불어 함께 사는 정신을 가진 심력과 실력 있는 존재를 위한 홀리스틱 교육으로의 전환이어야 한다. 에컨대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창의 인성교육, 진로교육 및 학교폭력을 예방하며, 학생 주도형 자기주도학습, 동아리활동, 융복합교육(STEAM), 배움중심수업과 평가 등이 그러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교육현장에서 공교육의 파행을 극복하려는 것이다. ‘꿈, 끼, 행복교육’은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관계성에 기초한 개인의 자기를 둘러싼 외적 환경과 내적 자아에의 연계의식을 형성하고 자유인을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4.17 최종저작일 2015.02
23P 미리보기
홀리스틱교육의 시각에서 본 '꿈, 끼, 행복교육'
  • 미리보기

    소개

    이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현 교육과정의 지표인 ‘꿈과 끼를 기르는 행복교육’[꿈, 끼, 행복교육]의 의미를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리스틱 교육은 관계성을 근본으로 하는 접근으로서, 인간교육이란 자기가 속한 지역공동체와 전 지구적 공동체 그리고 자기 내면세계와의 관계성의 중요성과 그 영향을 학생에게 인식하게 하고 실천하게 하는 것이다. ‘꿈과 끼를 기르는 행복교육’의 특징은 이타실천을 통한 더불어 함께 사는 정신을 가진 심력과 실력 있는 존재를 위한 홀리스틱 교육으로의 전환이어야 한다. 에컨대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창의 인성교육, 진로교육 및 학교폭력을 예방하며, 학생 주도형 자기주도학습, 동아리활동, 융복합교육(STEAM), 배움중심수업과 평가 등이 그러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교육현장에서 공교육의 파행을 극복하려는 것이다. ‘꿈, 끼, 행복교육’은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관계성에 기초한 개인의 자기를 둘러싼 외적 환경과 내적 자아에의 연계의식을 형성하고 자유인을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

    목차

    I. 서론: 교육의 위기, 행복하지 않은 학교
    II. 공교육 정상화의 걸림돌: 선행학습
    III. 행복교육의 배경과 내용: 창의 인성·진로교육,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자유학기제
    Ⅳ. 참된 학력을 기르기 위한 배움중심수업과 평가
    V. 홀리스틱 교육의 비전 형성을 위한 관계성을 기르는 교육
    Ⅵ.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행복교육
    Ⅶ .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수업
    VIII. 결론

    본문내용

    Ⅶ.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수업
    홀리스틱 교육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자각과 타인의 삶이 자신의 삶과 연계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수업에는 직관과 통찰이 요구된다. 수업을 시작하는 초기에 전일적(wholeness)인 의식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홀리스틱 교육이 줄 수 있는 관계성을 형성하고 의식을 확장할 수 있는 아이스 브레이킹을 소개한다. 이는 McLuhan이 말한 지구촌(global village) 시대에 세계시민으로서의 공감 의식을 형성하는 주요한 방법이다. 이와 같은 사랑과 친절의 명상(loving-kindness meditation)은 나와 내 가족과 친구, 지역사회, 나라 그리고 나아가 지구, 그리고 자신의 존재의 근원을 깊이 고민하게 하는 우주적 차원까지 의식의 지평을 깊고 넓게 하는 접근이다.

    Miller(2010)는 다음과 같은 ‘사랑의 마음열기’를 제시한다.
    May I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my family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my friends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my neighbors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my colleagues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all people that I meet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all beings on the planet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all beings in the universe be well, happy and peaceful.

    또 다른 접근은 지리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다.
    May I be well, happy and peaceful.
    May all beings in this room be well, happy and peaceful.

    참고자료

    · 강충렬·권동택·손민호·이진웅·정진영·한상우·장진희(2013). 인성교육 중심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연구. 2013 교육부 정책연구.
    · 경기도교육청(2012). 2012 경기도 교육과정. 17-45
    · 경북사대부중학교(2014). 2014 경북사대부중학교 교육과정운영계획.
    · 곽병선(2013). 꿈과 끼 살리는 ‘자유학기제’. The Science Times.
    · http://www.sciencetimes.co.kr/?newsEA%BF%88%EA%B3%BC-%EB%81%BC-%EC%8 2%B4%EB%A6%AC%EB%8A%94-%EC%9E%90%EC%9C%A0%ED%95%99%EA%B8%B0%EC%A0%9C 2013/4/10.
    · 교육과정평가원(2013). 배려와 나눔으로 모두가 행복한 인성교육 강화 기본계획(안).
    ·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CB0QFjA A&url=http%3A%2F%2Fwww.cne.go.kr%2FboardCnts%2FfileDown.do%3FfileSeq%3D1b8a643e19a6fdec43c4c******-*******0,d.aWw&cad=rjt
    · 김광수(2013).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학교폭력 예방과 대처의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교육, 24(3), 1-23.
    · 김복영(2011). 홀리스틱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으로서의 영성지능. 홀리스틱교육연구, 15(1), 115-134.
    · 김복영(2014). 교육에서의 어우러짐의 개념화에 대한 토론. 2014 한국교육과정학회 제4차 학술세미나 자료집. (2014. 10. 25. 고려대학교)
    · 김현재(2000). 행복한 교실을 위한 신홍익인간교육의 실천모형 탐색. 홀리스틱교육연구, 4(3), 39-73.
    · 김현재(2002). 행복한 교실에서 홍익하는 청소년의 영성적 비전 탐색. 홀리스틱교육연구, 6(1), 1-28.
    · 김현재(2008). 행복교육 리더 트레이닝. 인천: 참글사.
    · 명지원(2011). 홀리스틱교육 시각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방향. 홀리스틱교육연구, 15(3), 49-66.
    · 문용린. 이제는 행복교육입니다. 서울시교육청.
    · http://myhappyedu.sen.go.kr/user/bbs/photo/view.do? bbsCd=274&bbsSeq=2917
    · 박영석·구하라·문종은·안성호·유병규·이경윤·이삼형·이선경·주미경·차윤경·함승환·황세영(2013).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31(1), 159-186.
    · 소경희(2012).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구, 30(1), 59-79.
    · 송민영(2002). 통합적 사고로 이끄는 영성교육. 홀리스틱교육연구, 6(1), 71-104.
    · 송민영(2006). 홀리스틱 교육사상. 서울: 학지사.
    · 송순재(2002). 학교교육의 방향전환을 위한 새로운 영성교육: 중학교에서 영성교육의 홀리스틱 방향 탐색. 홀리스틱교육연구, 6(1), 131-163.
    · 오인탁(2014). 꿈과 끼를 살리는 새로운 학교교육문화.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4. 11. 8. 인천대학교).
    · 유슬아(2012).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0(2), 83-109.
    · 이상미(2014). 선행학습금지법, 교원 87.5% “준비 부족하다”. 한국교육신문 2014/4/14.
    · 영남삼육고등학교(2014). 2014 영남삼육고등학교 교육과정운영계획.
    · 이은승(2012). 홀리스틱적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인식도 조사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16(3), 101-120.
    · 정은혜(2000). 교육의 새패러다임: 관계 중심의 교육.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0. 5. 10. 이화여자대학교).
    · 조한무(2014).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꿈너머 꿈을 위한 심력 기르기.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4. 11. 8. 인천대학교).
    · 백승렬(2013). 2017학년도 수능 큰 변화 없다…한국사 9등급 절대평가. 연합뉴스. 2013/10/23.
    · 주재홍(2012). 생태학과 교육과정 탐구: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또 다른 접근. 교육과정연구, 30(2), 1-26.
    · Jung, Arthur. The Story of ART: 행복지수 최하위,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극.
    · http://arthurjung.tistory.com/284 2013/5/6.
    · Lewism, H. R. (2006/2007). Excellence without a soul: Does liberal education have a future? Boston: PublicAffairTM Press.
    · Miller, J. P. (2000). 홀리스틱 교육과정[The holistic curriculum]. (김현재 외 5인 역). 경기: 책사랑. (원전 1996년 출판).
    · Miller, J. P. (2005). Holistic learning snd spirituality in education: Breaking new ground.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Miller, J. P. (2010). Whole child education.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 Miller, R. (1990). What are schools for?: Holistic education in American culture. VT: Holistic Education Press.
    · UNESCO(1997). 21세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망-유네스코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종합보고서[Learning: The treasure within-report to UNESCO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educ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김용주 외 3인 역). 서울: 오름. (원전 1996년 출판).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