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식업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olution of Aquaculture Related Laws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2.12
22P 미리보기
양식업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4권 / 4호 / 115 ~ 136페이지
    · 저자명 : 최치훈

    초록

    한국에서 처음으로 근대적 어업제도가 탄생한 것은 1908년 11월 11일 제정되어 1908년 4월부터 시행한 어업법이다. 이 법에서 일정한 구역내에서 포패‧채조 또는 양식을 하는 어업을 제2종면허어업이라고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양식어업은 포패‧채조하는 어업과 함께 제2종면허어업에 속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6월 3일 어업령이 공포되고 1912년 4월부터 시행되었다. 어업령에서는 제2종면허어업은 일정의 수면을 구획하여 양식하는 어업이라 규정하였다. 1929년 1월 26일 제정 공포되어 1930년 5월부터 시행된 조선어업령에서는 양식어업은 일정 수면에 구획 및 기타의 시설을 하여 양식하는 어업으로 규정하였다. 이 법은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8년이 지난 뒤인 1953년 12월 9일 수산업법이 시행될 때까지 그 효력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1953년 9월 9일 제정된 수산업법은 조선어업령과 매우 유사하였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양식어업은 전체 어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낮았고, 김양식이 대부분이었다.
    1960년대부터 수산업이 수출산업으로 유망했기 때문에 정부는 어업권을 개인에게 면허를 하는 등 양식어업에 적극 지원하였다. 이에 따라 양식어업은 급속한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연작과 과도한 시설은 생산성의 저하와 어장환경의 악화를 초래하였다. 정부의 지원과 어장환경 악화 등은 양식어업 관련법에도 영향을 끼쳤다.
    현재 양식업은 수산물생산량의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금액도 1/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양식업은 김양식에서 시작되어, 현재, 굴, 전복, 진주담치, 김, 미역, 다시마, 넙치, 조피볼락, 참돔, 멍게 등 많은 종류를 양식하고 있으며, 양식 방법도 다양하다.
    최근 정부는 양식어업을 수산업법에서 독립시켜 양식업 육성을 위한 법적체계의 정비와 지속가능한 양식업발전을 도모하려고 양식산업발전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2019년 8월 27일 제정되어 2020년 8월 28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의 제정으로 법 조문의 명칭에도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법조문 검토와 문헌 등을 이용하여 양식업 관련법률이 변화하는 과정을 단편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는가를 정리하여 양식산업정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first formal modernistic fishery laws founded in Korea is the Eoeobbeob Act that was established on November 11, 1908 and enforced from April, 1908. This laws prescribed the second number licensed fishery as the fishery digging clams, gathering seaweeds or cultivating fishes within a fixed area; thus, the aquaculture became belonged to the second number licensed fishery together with the fishery digging clams and gathering seaweeds.
    The Eoeobbeob Act was promulgated on June 3, 1911 and come into enforcement from April, 1912 under Japanese occupation. In the Act, the second number licensed fishery prescribed the cultivating fishery by partitioning the certain water surface.
    In the Chosun Eoeoblyeong Act established on January 26, 1929 and come into enforcement from May, 1930, the aquacultural fishery prescribed the cultivating fishery by partitioning the certain water surface and installing the other facilities.
    The laws had maintained the validity 8 years after Japanese occupation, until the Fishery Act came into enforcement from December 9, 1953. The Fisheries Act established on September 9, 1953 was basically very similar with Chosun Eoeoblyeong Act.
    Even until 1950s, the aquaculture held the extremely lower proportion in the total fishing production; however, mostly the laver culture. Since 1960s, the government positively has supported the aquaculture by licensing a private person the fishery right because the fishing industries showed a bright prospect as an exporting industry.
    However, the productivity of fishery ground became lower and the worse environment of fishing ground was produced in terms of a long term consecutive cultivation and a dense culture. The government support and the worse environment of fishing ground caused influence on the aquaculture related laws.
    In 2020s, presently, The aquaculture accounted for about two thirds of fish catches, and one third in the value of fish catches.
    Korean aquaculture began from the laver culture, at present, various species such as oyster, abalone, laver, sea mustard, tangle, flounder, rockfish, red sea bream and sea squirt have been cultivated, and the methods of cultivation are diverse.
    Recently,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to improve the legal system and contrive the sustainable aquaculture development for the support the aquaculture by separating the aquaculture from Fisheries Act The Laws was established on August 27, 2019 and have come into enforce since August 28, 2020. The numerous legal names have altered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law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by perusing the laws for the aquaculture and its literature, and has desired to help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through arranging the evolution of aquacultur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