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조 어제시 연구 (A Study on the King's Poetry by King Se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0.12
38P 미리보기
세조 어제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2호 / 319 ~ 356페이지
    · 저자명 : 이현지

    초록

    세조(世祖) 이전의 조선 군주는 거의 시를 짓지 않았으나 세조를 기점으로 후대의 군주가 상당수의 어제(御製)를 창작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시를 정치적목적으로 활용한 세조의 시인식과 창작 양상은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에게계승되었으며 영조(英祖)·정조(正祖)에게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된다.
    세조의 어제시는 열성어제(列聖御製)에 50여 수가 수록되어 있으나 본격적인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세조의 시인식과 시세계를 검토하였다.
    세조는 시를 통하여 신하들과 소통하고자 하였다. 세조가 ‘시언지(詩言志)’에주목한 시초는 신하의 직언이 왕권을 약화시킨다고 인식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시를 통해 넌지시 간하던 시경(詩經)시대의 정신을 창화시의 실제적인 창작을 통해 구현하려 하였다. 또 시악(詩樂)을 통해 정치의 득실을 파악하고 풍속을 변화시키려는 의도로 악부(樂府) 창작을 주도하였다.
    세조는 천자(天子)인 단군(檀君)의 후손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고 조선 중심의천하 질서 구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군신의 동지적 유대를 중시하여 공신을우대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어제시를 내리며 각별한 정을 보인 인간적 친근미는후대에도 인구에 회자되며 칭송되었다. 군신 간의 공고한 관계를 권력 기반으로하여 부국강병을 추구한 세조는 자신의 지배 영역을 무경계로 확장하고자 하였다.세조는 그 이상을 호월일가(胡越一家)라는 시 제목으로 암시하였는데, 무경계의영토를 향한 일념은 진리에 대한 깨달음에서 얻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 우주에어떤 경계도 없다는 형이상학적 비밀을 세조가 설한 바 있다. 불교를 매개로 천하를 통합하고자 한 세조는 호불주(好佛主)로 자처하며 민심의 귀의를 받고자 했고,천명(天命)을 설명한 주역(周易)을 활용하여 충심을 유발하려 하였다. 신민의교화를 목적으로 세조는 유불(儒佛)을 치도(治道)로 인정하였다.

    영어초록

    50 works of King Sejo's poems are recorded in Yeolseong Eoje(列聖御製) but any examination of the King Sejo's literature hasn't been performed. This study analyzed his recognition and view of poetry.
    King Sejo often conferred King's poems as a symbol of special blessing for the formation of close relationship with worthy retainers as well as pursue for a method to reinforce the sovereign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thy retainers. He realized that the core assignment of the ruling reason was to prevent unexpected upheaval so that he put his efforts for the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e course, the Joseon Dynasty found the identity of the descendent of Dangun, a son of Heaven and had a worldview focused on Joseon to dream Ho Wolilga(胡越一家). King Sejo as a conqueror king as well as a king who likes Buddhism in order to enlighten the people concentrated on the Buddhism propagation and emphasized the Book of Changes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of the bureaucrats as Confucians. He acknowledged not only Buddhism but also Confucianism for enlightenment of the governing class and the ruled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