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엇’에서 ‘언제’로 : 벡터자기회귀모형을 통한 경제현실, 경제보도, 경제인식 간상호영향의 시간차 탐구 (From “What to Think about” to “When to Think” : A Time Series Analysis on the Temporal Gap in the Inter-influences among the Real-world Economy, Economic News, and Mass Economic Judgmen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08.10
26P 미리보기
‘무엇’에서 ‘언제’로 : 벡터자기회귀모형을 통한 경제현실, 경제보도, 경제인식 간상호영향의 시간차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52권 / 5호 / 320 ~ 345페이지
    · 저자명 : 이완수, 노성종

    초록

    현실 경제지표와 언론의 경제보도, 국민의 경제인식 간의 예측관계는 ‘언제’ 나타나고, 사라지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고자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경제현실-보도-인식을 대표하는 각 2가지의 집합적 지표들을 통해 상호 역동적 영향 과정이 ‘언제’ 발생하고 소멸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탐구했다. 또한 상이한 경제구조, 정부와 언론의 관계, 국민 여론의 특징을 갖는 두 정부 하에서 이러한 상호영향의 시간차가 어떻게 다르며, 또 같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비교했다. 벡터자기회귀 모형(vector autoregressive model)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 결과 ① 언론의 경제보도가 현실 경제지표에 미치는 영향(미디어 맬러디: media malady)이 발생하기까지는 대체적으로 2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② 언론의 경제보도가 국민의 경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구체적으로 보도 논조의 프레이밍 효과도 집합적 수준에서 관찰되기까지 2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인다. ③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기 모두에서 현실 경제지표가 언론의 경제보도에 반영되기까지는 상대적으로 짧은 한 달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관찰됐다. ④ 경제 현실-보도-인식 간 상호영향의 시간차에 있어서 정부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엇에 효과를 주는가’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넘어, 향후 커뮤니케이션 효과연구에서는 ‘언제 효과가 나타나고 사라지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담았다.

    영어초록

    When do the inter-influences among the real-world economy, economic news, and mass economic judgments occur and disappear? In order to solve the conundrum, the present study has employed two respective measures representing economic reality, news reporting, and rating of public. Also the study has compared the two different period of regimes of South Korea, the kim Dae-Jung and the Roh Moo-Hyun governments, which are presumed to have distinct economic structure, press-government relationship, and public opinion climate. Utilizing Vector Autoregressive time serie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① “media malady,” the effect of economic news coverage on the state of economy, took 2 months to appear and lasted a month, ② framing effect, the influence of economic news on the economic judgment of general public, also emerged in 2 months and had a month of duration, ③ it took a month for economic reality to be reflected on the economic news coverage and maintained a month as well for both the Kim and Roh administration, and ④ clear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wo period of regimes in terms of temporal gap of tripartite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esearch with respect to “whe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ccur and disappear” are required to be scrutinized in future studies in media effects beyond traditional concerns of the field that merely have been asking “wha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