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쓰기-주체-되기’의 정치성 (Politics of Becoming the Writing-Subje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쓰기-주체-되기’의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36호 / 143 ~ 173페이지
    · 저자명 : 양경언

    초록

    본고는 언어가 ‘불평등한 세상을 공고히 하는 권력의 주체’라는 것을 인식한 여성들이 ‘담론적 실천’으로 펼치는 ‘쓰기 활동’을 살핀다. 이때 주목하는 ‘쓰기’란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제한된 위치에 처해있는 이가 저 자신을 스스로 주체화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쓰기 활동을 삼는 상황을 포괄하여 이른다. 여성은 남성의 문자를 다시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말할 장소를 개척하는 ‘쓰기-주체’로 거듭난다. 특히 승인된 학문의 장(場)이나 문학 장이 아닌, 제도의 가장자리에서 ‘쓰기-주체’들은 가부장제와 젠더 관습의 억압적 양태를 교란시키고 새로운 담론 지형을 형성하는 일을 훨씬 더 자유롭게 수행한다.
    그와 같은 활동을 탐색하다보면 ‘메갈리아’에서 우세하게 활용되는 ‘미러링 화법’은 메갈리안들이 고안한 최초의 방식이 아님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쓰기-주체-되기’에 대한 해석을 진행할 때 여성의 역사 역시 다시 쓰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가 분석대상으로 삼는 ‘쓰기 주체’의 수행성이 발휘되는 장소는 학문 장 바깥에 있다. 우선 그와 같은 활동을 1920년대 잡지 『신여성』 에서 살폈다. 남성이 근대적인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여성을 업신여기는 내용의 글이 잡지에 수록될 때, 여학생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패러디’와 ‘아이러니’를 활용하여 여성혐오를 일삼는 남성에 맞섰다.
    이를 잇는 최근의 활동은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기 고백적인 서사를 사회적인 현안으로 전환해내는 쓰기 방식은 데이트폭력, 성폭력과 관련한 사안이 ‘누구의 문제인지’를 질문하는 방향으로 담론을 형성한다. 또한, ‘메갈리아’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여성들의 쓰기 활동은, 여성들이 스스로 젠더관계의 불균형과 관련한 여러 문제 사안에 실천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젠더 관계의 불균형적인 힘의 구도 속에서 삭제되어왔던 ‘저항-목소리들’을 역사의 한복판으로 출연시킬 때 확인할 수 있는 ‘쓰기-주체’는 첫째, ‘패러디’ 및 ‘아이러니’를 활용한 화법을 구사함으로써 권력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이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둘째, 그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이들의 격론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말을 듣거나/읽는 이들과 대화적인 전환을 이루어낸다. ‘쓰기-주체’의 수행을 통해 이뤄지는 ‘대화적 전환’은 종국에는 ‘열린 구조’의 담론을 형성하는 정치성을 발휘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women’s writing, which is part of discursive practice. The writing encompasses all forms of writing activities by those who are not allowed to speak out but struggle to make their voices heard as a subject. Rewriting the words dominated by men’s view, women can pioneer a space for free speech. For this reason, writing activity by women should be encouraged and emphasized in the society dominated by gender inequality.
    This paper explores outside of academic world in which performativity of the writing subjects is executed, specifically, Shinyeoseong, a Korean magazine in the 1920s. In this magazine, women were hated and belittled by men who became subjects in the modern society. Women, however, did not sit on their hands and stand up against such view by writing articles full of parody and irony.
    Such confrontations are witnessed on the internet these days. Women’s confession of painful stories on social media, for example, is changed in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ereby generating discourses on who is to blame for dating abuse and sexual assault. Women’s writing activities on online communities such as Megalia also give women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what to do in dealing with gender inequality issues.
    Thus, the writing-subjects come to be recognized when their voices, which have been mute in history of gender inequality, begin to be heard by writing, and what they can do is as follows: first, the writing-subjects criticize those with greater power in relationship by making use of irony and parody in writing; second, such critiques spark heated discussions, thereby changing the writings into conversations with listeners/readers of the critiques. The change to conversation produced by performativity of writing-subjects, in the end, generates open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