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험서사 쓰기 교육 연구 (The Study on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05
34P 미리보기
경험서사 쓰기 교육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11권 / 1호 / 229 ~ 262페이지
    · 저자명 : 우신영

    초록

    이 연구에서는 경험을 서사화하는 자전적 소설의 양상을 장르로서 일별하고, 이러한 장르에서 나타나는 경험서사 쓰기의 지향성과 유형, 서사적 전략을 도출하였다. 먼저 자전적 소설의 지향성으로는 인물의 내면 공간 발견과 탐색, 경험의 상징화과 미학적 플롯화, 서술을 통한 경험의 사회역사적 의미화 등을 도출하였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전적 소설의 서사 형식을 서간 형식의 자전적 소설, 회상 형식의 자전적 소설, 여로 형식의 자전적 소설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그리고 자전적 소설의 서사 전략 분석의 결과로 초점화된 인물의 내면 고백을 통한 진정성 주장, 공통경험의 강조를 통한 독자의 공감적 이해 유도, 대타자의 설정을 통한 성찰 및 행위 지향 표명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 검토된 경험서사의 표현 원리를 토대로 문학교실 속 학습자의 경험서사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 내용을 크게 ①자기표현 동기화 및 지향성의 설정, ②라이트모티프 경험의 발견과 변형, ③경험자아와 서술자아의 분리, ④타자의 설정과 방법으로서의 대화 등의 네 항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자전적 서사가 갖는 아마추어리즘의 성격은 허구에 의한 자기표현의 가능성을 넓힌다는 점에서 생산론적 문학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교육적 실천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쓰기를 통한 정체성 문식성의 신장과 경험서사의 상호 소통 능력의 신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project to take shape an identity as a writer for student. So I take not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This study analyze 1930~1940s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s for educational content desig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specially 1930~ 1940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strong association between private experience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us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are useful resource for extract principles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This study do research common directivity, writing type, and narrative strategies among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As a result, I found that exploration of person’s inner-side, symbolization of experience and aesthetic plot-making,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in social-cultural context as common directivity. Next I found that epistolary novel, reminiscence novel and journey novel as meaningful narrative form in literary education. And I found that sincerity-emphasis through person’s confession, common experience-emphasis for reader’s empathic understanding, self-examination through assumed ‘others’.
    Based on this theoretical survey, the present study design the activity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in literary classroom. This activity is make up four steps: ①motivation of self-expression and setting of directivity, ②finding and changing of light-motif experience, ③separation of experiencing self and narrating self, ④setting of ‘others’ and conversation as a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velop self-expression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of experiential narrative and identity-literacy for students in literar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교육현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