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약용의 『四禮家式』과 家禮 인식-『朱子家禮』와 비교를 중심으로- (Jeong Yak-yong’s Sarye gasik and Recognition of Family Ritual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7.12
48P 미리보기
정약용의 『四禮家式』과 家禮 인식-『朱子家禮』와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3호 / 313 ~ 360페이지
    · 저자명 : 이병유

    초록

    『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로서 관혼상제 四禮의 절차와 실행방법을 제시했으며, 「관례작의」․「혼례작의」(1810), 『상의절요』(1817), 『제례고정』(1808)으로 구성되었다. 『사례가식』의 편찬목적은 고례의 의식과 절차를 일상생활 속에 되살리는 것이었다.
    『사례가식』과 『주자가례』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드러났다. 「관례작의」는 관례 시 宗子의 권한을 우선하지 않고 아버지를 관례의 주인으로 전제함으로써 관례를 家 단위에서 보다 용이하게 교정하고 수행하려 했다. 「혼례작의」는 『주자가례』가 생략했던 問名, 納吉, 請期를 포함해 六禮의 절차를 모두 지켰으며, 合∎∎禮와 共牢禮, 盥饋에 쓰는 음식의 종류와 가짓수, 진설 위치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상의절요』는 復, 殯, 明器 및 方相氏에서 비효율과 낭비, 근거 없는 구습 등을 용납하지 않았다. 또한 시신을 임시로 매장하는 成殯 이후에 비로소 神魂에게 祭를 올리는 여러 기구를 설치할 것과 임시 신주의 역할을 하는 銘重과 魂帛을 중복하여 설치하지 말 것 등 魂과 魄, 奠과 祭를 철저히 분리하여 인식하는 논리적 정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했다. 『제례고정』은 사대부의 봉사대수를 3대로 통일했으며, 강신의 핵심절차인 酹酒와 墓祭 시 后土神에게 올렸던 후토제를 인정하지 않았다. 제후국의 신하인 조선의 사대부가 4대를 봉사하는 것과 천자와 제후의 禮인 후토제를 행하는 것은 僭禮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사 시 신분별로 제찬의 종류는 물론, 그 가짓수와 제기의 크기 등을 고례에 의거해 매우 상세하게 상고하면서 신분에 합당한 禮의 준수를 강력히 주장했다.
    『사례가식』에 나타난 정약용의 가례 인식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약용은 신분과 등급을 벗어나는 禮의 참월을 극도로 경계했다. 정약용은 사례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매우 세밀하면서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禮의 참람을 비판했다. 둘째, 정약용은 名을 강조함으로써 禮의 뜻[義]을 세우고, 禮의 文과 質의 부합을 추구했다. 정약용은 名과 文이 먼저 바루어지고 제대로 서야만 그에 따라 참례의 경계와 禮의 엄격한 변등이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고 보았다. 셋째, 정약용의 行事 위주의 禮 인식과 현실 중심의 禮 인식은 실제적인 행례의 변화로 나타났다. 정약용은 禮를 사람 속에 내재한 性이나 理와 같은 형이상학적 개념이 아니라, 몸소 실천해야 하는 일[事]이자 행위[爲]로 파악했다.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인 『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예치 구상과 예치 메커니즘의 제 일선이자 마지막 단계에서 예치의 지향점으로 인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했으며, 다산예학의 이상에 실천적 근거와 효용을 제공했다.

    영어초록

    Sarye gasik (The Family Rules of the Four Rites) is the only book written by Jeong Yak-yong (1762-1836) on the rules to be observed when a family performed one of the four principal rites, coming-of-age ceremony,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 Consisting of the four parts, Gwallye jagui (Wine Offering at the Capping Ceremony, 1810), Hollye jagui (Wine Offering at the Wedding Ceremony, 1810), Sangui jeoryo (Essentials on the Funeral Ceremony, 1817) and Jerye gojeong (A Study on the Ancestral Memorial Ceremony, 1808), the book was aimed at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rites and ceremonies for the daily lives of the author’s contemporaries.
    A comparison of the book with Zhuzi Jiali (Family Rites of Zhu Xi, ca. 15th c.) in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differences. The first is that in the Gwally jagui, the author regarded that the coming-of-age ceremony for a young person should be hosted by his or her father rather than the male heir of the clan-head family, suggesting that a family ceremony should be treated as a family event rather than that for the entire clan the family belonged to. In the Hollye jagui, the author insisted that the entire process of six stages should be kept, including that of “name enquiry”, “delivery of auspicious date,” and “date enquiry”, which are allowed to be omitted in the Zhuzi’s book, and introduced details of the food, including its arrangement of food on the ceremony table, prepared for the events of “wine sharing” (hapgeun), “food sharing” (gongnoe) and “food offering” (gwangwe). In the Sangui jeoryo,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inefficient, wasteful use of resources and bad customs related with the funeral ceremony, including the “invocation” (bok), “temporary burial” (yeom) and “burial goods” (myeonggi). He proposed that the facilities used for the funeral ceremony should be implemented only after the temporary burial and that the spirit banners and tablets should not be used redundantly, thus maintaining logical consistency in his perception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the human soul after death and the ceremonies honoring them. In the Jerye gojeong, the author asserted that the annual memorial services held for the ancestors should be limited to the three latest generations and did not allow the ritual of libation to invoke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at honoring the god of the earth and soil because he believed that it would be violation of order for the aristocrats of Joseon, subjects of a vassal state, to perform the rituals which had been allowed only to the suzerain and its vassals. He also insisted in the book that the rituals should be held to fit the social standing of the host in the amount of food offerings and the use of sacrificial vessels, providing detailed explanation based on old examples.




    The Jeong Yak-yong’s view of the family ceremonies contained in the book, Sarye gasi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warned his readers strongly against presumptuousness in the family ceremonies, going beyond the social standing and means of the host family, repeatedly and tenaciously stressing the impropriety of the excessive ceremonies by providing detailed examples. Second, Jeong Yak-yong tried to consolidate the “righteousness” (義) of the “rite” (禮) b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justice” (名) and sought after the unity of “form” (文) and “content” (質) of the rite. He believed that the boundary of the presumptuousness in family rites could be clearly delineated only after the “justice” and “form” restore their order. Third, his conception of the rite based on actual practices and its perception based on reality resulted in the changes i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family ceremonies. Jeong Yak-yong understood the rite not as a certain metaphysical concept inherent in human beings such as “nature” (性) or “reason” (理) but as “occasion” (事) and “action” (爲) connected with what really happens.




    As the only book of the family rites and rituals written by Jeong Yak-yong, the Sarye gasik performed the role of a guide leading his readers to the forefront of his concept and mechanism of the “propriety-based rule” (禮治) as well as its destination. The book is also regarded as a key source providing the practice-focused foundation and usefulness for the ideals of his study on the rit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