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인 『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예치 구상과 예치 메커니즘의 제 일선이자 마지막 단계에서 예치의 지향점으로 인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했으며, 다산예학의 이상에 실천적 근거와 효용 ... 『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로서 관혼상제 四禮의 절차와 실행방법을 제시했으며, 「관례작의」․「혼례작의」(1810), 『상의절요』(1817), 『제례고정』(1808 ... , 納吉, 請期를 포함해 六禮의 절차를 모두 지켰으며, 合∎∎禮와 共牢禮, 盥饋에 쓰는 음식의 종류와 가짓수, 진설 위치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상의절요』는 復, 殯, 明器 및 方相
achieved great scholastic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Jeongjuhak (程朱學), Yehak (禮學, Ritual studies ... 경상우도에 연고를 둔 함인재 정국채는 19세기 초반 무렵을 활동기로 삼았던 노론 계열의 재야 유학자다. 과거업을 단념한 채 오롯이 학문 연마에 매진했던 정국채는 정주학과 예학 ... 가 일실된 탓에 추적이 불가능한 예학⋅농학의 경우와는 달리, 문집인 『함인재유고』에는 정국채가 행한 정좌 수행을 서술한 내용들이 비교적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는 상태다. 특히 정국채
조선 후기 정약용의 실학사상과 강진 유배 생활1. 머리말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활동했던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조선 사회는 정치·사회 ... 를 위한 사회개혁론을 설계함으로써 조선 후기 실학의 경세론(經世論)을 내세워 사회개혁에 힘썼고, 성리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을 하면서 양명학(陽明學)·서학(西學)·고증학(考證學 ... 알아보고자 한다.2. 다산 정약용에 대하여(1) 생애와 활동다산 정약용은 1762년(임오년 영조 38년) 음력 6월 16일,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당시 광주군 초부면 마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