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로서 관혼상제 四禮의 절차와 실행방법을 제시했으며, 「관례작의」․「혼례작의」(1810), 『상의절요』(1817), 『제례고정』(1808 ... )으로 구성되었다. 『사례가식』의 편찬목적은 고례의 의식과 절차를 일상생활 속에 되살리는 것이었다.『사례가식』과 『주자가례』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드러났다. 「관례작의 ... 」는 관례 시 宗子의 권한을 우선하지 않고 아버지를 관례의 주인으로 전제함으로써 관례를 家 단위에서 보다 용이하게 교정하고 수행하려 했다. 「혼례작의」는 『주자가례』가 생략했던 問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