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로서 관혼상제 四禮의 절차와 실행방법을 제시했으며, 「관례작의」․「혼례작의」(1810), 『상의절요』(1817), 『제례고정』(1808 ... 는 銘重과 魂帛을 중복하여 설치하지 말 것 등 魂과 魄, 奠과 祭를 철저히 분리하여 인식하는 논리적 정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했다. 『제례고정』은 사대부의 봉사대수를 3대로 통일
를 두고 있다. 상례(喪禮)에 관한 방대한 저술인 『상례사전喪禮四篆』이나 제례(祭禮)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구성한 작업인 『제례고정祭禮考定』도 『주례』?『의례』?『예기』의 예경(禮經 ... 를 고증하여 고례(古禮)의 원형을 밝힘으로써 후세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하는 고증학적 방법을 추구하고 있으며, 제례의 대상으로서 천(天) 내지 신(神) 개념의 신앙적 인식을 관철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