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언어학적’ 시 분석을 위한 기고 (Ein Beitrag zur textlinguistischen Gedichtanaly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9
21P 미리보기
‘텍스트언어학적’ 시 분석을 위한 기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66권 / 66호 / 57 ~ 77페이지
    · 저자명 : 이재원

    초록

    ‘어떤 (텍스트로 판단되기 이전의) 임의적 발화가 텍스트로 간주되는 일반적 조건들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은 텍스트언어학의 초창기인 1960년대 중반부터 줄곧 제기되어온 텍스트언어학의 핵심 문제인 ‘텍스트성 Textualität’과 관련된다. 텍스트언어학의 중요저작 중의 하나인 Beaugrande와 Dressler의 『텍스트언어학 입문 Einführung in die Textlinguistik』(1981)의 핵심은 이러한 텍스트성의 규명에 있다. 여기서는 텍스트언어학 초기 무렵에 중요 관심사였던 일련의 문장 연쇄로서의 텍스트가 아닌, ‘하나의 통합적 총체로서의 텍스트 성격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 관건이다. 이러한 ‘텍스트성’과는 달리 다소 생소해 보이는 ‘메타텍스트성 Metatextualität’은 독일 뮌스터대학의 텍스트언어학자인 Brinkmann의 제자로서 텍스트언어학의 역사에서 나름대로의 위치(‘해석학적 텍스트언어학 hermeneutische Textlinguistik’ 방향)를 차지하고 있는 Scherner에 의해 다듬어진 용어이다. 그는 자신의 독일 뮌스터대학교 퇴임고별강연(2005년) 「텍스트에서 계속하기. 텍스트성에서 메타텍스트성으로 Weiter im Text. Von der Textualität zur Metatextualität」에서 Genette의 용어를 빌어 이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규정지었다. “문학 텍스트와 문학텍스트의 해석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Scherner 2005, 20)를 출발점으로 삼는 메타텍스트성은 기존의 문예학적 연구 대상물을 문예 비평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텍스트)언어학으로 끌어들인 것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차 텍스트인 문학텍스트와 그것에 대한 해석인 2차 텍스트 사이의 ‘의의연속성 Sinnkontinuität’ 이 개념은 코헤렌쯔를 설명하기 위해 Beaugrande/Dressler(1981, 88)가 Hörmann(1976)의 심리언어학적 용어인 “의의의 항상성 Sinnkonstanz”라는 용어에서 착안한 것이다. 생물학에서, “생명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나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내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는 조절 과정 또는 그 상태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homeostasis(항상성)에서 homeo의 의미는 same(동일한, 똑같은)이고, stasis의 의미는 standing(유지하다)의 뜻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다’라는 용어의 조합이다. 항상성의 예로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혈당량 조절 등을 들 수 있는데, 생명체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일어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온, pH, 삼투압 등 생화학 성분을 포함해 다른 체내 환경이 항상 어떤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항상성 유지’이다.” (개념톡톡 용어사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 39XXX8800009).
    을 지칭하는 메타텍스트성은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ät과 관련지을 수도 있다. 그러나 문예학에서의 출발한 상호텍스트성 개념은 너무나도 복잡하고, 또한 텍스트언어학에서는 이 개념이 종종 ‘지시 Referenz’ 개념으로 이해(또는 오해)되어 크게 각광을 받지 못했다(Scherner 2005, 20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언어학에서는 Scherner 등에 의해서 이 방향의 연구가 계속되어 왔는데,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이러한 메타텍스트성의 비교 분석에 향해있다. 이를 위해, 소위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해서 박목월의 시 「나그네」를 분석한 고영근, 이석규 외와 Kirsch의 「외눈으로 Einäugig」를 분석한 Weinrich의 소위 ‘텍스트언어학적’ 시 텍스트 분석 방법론을 비교하여 시 텍스트 분석의 일반화에 조금이라고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성하는데 있다.

    영어초록

    R.-A. de Beaugrande/W. U. Dressler (1981, 3) definieren einen Text als eine kommunikative Okkurrenz (engl. ‘occurrence’), die sieben Kriterien der Textualität erfüllt. Wenn irgendeines dieser Kriterien als nicht erfüllt betrachtet wird, so gilt der Text nicht als kommunikativ. Das heißt: Unter Textualität versteht man in der Textlinguistik die Eigenschaft, ein Text zu sein. Verschiedene Kriterien der Textualität unterscheiden also Texte von sogenannten ‘Nicht-Texten’. Unter dem Begriff ‘Metatextualität‘ versteht Scherner(2005) die Beziehung zwischen einem literarischen Text und seiner Interpretation.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eben diese Metatextualität. Um diese zu analysieren, wurden an einem konkreten Fall die Text-Text-Beziehungen erläutert. Dabei handelt es sich um ein Gedicht von M.-Y. Park und entsprechende Interpretationen von S.-K. Lee und Y.-K. K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