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한시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연구 (A Study of Color Images in Women’s Hans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여성한시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82권 / 187 ~ 213페이지
    · 저자명 : 문복희

    초록

    이 논문은 전통적 색채의식이라 할 수 있는 오방색(五方色)의 개념과 의미를 설명하고, 여성한시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를 중심으로 미의식(美意識)을 조명하였다. 즉, 오방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의 다섯 가지 색채를 기준으로 색채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여성한시 작품 중에 김금원의「호동서락기(湖東西洛記)」와 이여순의 「자탄(自歎)」에 나타난 청색 이미지를, 삼의당 김씨의 「하일(夏日)」과 운초의 「전춘(餞春)」에 나타난 적색 이미지를, 황진이의 「송별소판서세양(送别蘇判書世讓)」과 난향의 「송별(送別)」에서 황색 이미지를, 김호연재(金浩然齋)의 「자상(自傷)」과 신사임당의 「읍별자모(泣別慈母)」에서 백색 이미지를, 이옥봉의 「규정(閨情)」과 이매창의 「유부여백마강(遊扶餘白馬江)」에 나타난 흑색 이미지를분석하였다. 다섯 가지 색채는 각각의 색채 이미지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통해 시의 주제나 시적 대상을 부각시키는데 필요한 시적 장치로 사용되었다.
    작품에서 색채어의 사용은 구체적인 색채를 통해 작가의 추상적인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는 또 다른 표현 방법이었다. 즉, 색채어가 시어로 쓰일 때, 자연소재나 작가의 감정이 구체적인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었다. 결국, 색채 이미지는 시의 이미지를 더욱 뚜렷하게 재생할 뿐 아니라 시인의 정서와 감성, 내면세계까지 담고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다섯 가지 색의 미감은 여성한시에서 독창적 미의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시각의 다양한 색채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ained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obangsaek (meaning “five-orientation-colo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ditional sense of color, and shed light on the aesthetic sense centered on the color images shown in women’s hansi poetry. In other words, while positively perceiving the obangsaek, the color scheme of the five Korean traditional colors of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was considered.
    Among the works of Hansi, the blue images in Kim Geum-won’s “Hodongseorakgi” and Lee Yeo-soon’s “Complain to Oneself,” the red images of Samuidang Kim’s “First Summer” and Uncho’s “After the Spring Time,” the yellow images in Hwang Jin-yi’s “Sending Soseyang Panseo” and Nanhyang’s “A Farewell,” the white images in Kim Ho-yeonjae’s “Jasang” and Shin Saimdang’s “EupbyelJamo,” and the black images in Lee Ok-bong’s “Gyujeong” and Lee Maechang’s “Yu Buyeo Baekmagang” were analyzed. Through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each color image, obangsaek was used as a poetic device to highlight the theme of the poetry or poetic object, representing another way of expressing the author’s abstract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specific colors.
    In other words, when coloring was used as part of the poetic language, subject matters in nature or the writer’s feelings could be expressed with concrete images. In the end, color not onlygenerated clearer images in poetry but also served as an important element conveying the poet’s emotions, sensibility, and inner world.
    In particular, obangsaek’s aesthetic sensibility was the basis for hansi’s recognition of original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further led to the formation of new perspectives on various color i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