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光州 全義李氏家의 재산상속 (The property inheritance practices of the Jeon'eui Yi Family(全義李氏家) of the Gwangju/光州 area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09
36P 미리보기
조선후기 光州 全義李氏家의 재산상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99호 / 111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숙

    초록

    조선후기 재산상속은 종법질서를 바탕으로 균분에서 자녀 차등상속 나아가 장자에게 집중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갔으나, 그 전환 과정은 일률적이지 않고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다양한 편차를 보인다.
    광주 지역에 세거한 전의이씨 이신의 후손가에서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를 거치면서 딸 사위를 차등하고 나아가 장자에게 재산을 집중시키는 방향으로 전환해 갔다. 1697년 이운부 처 박씨의 허여문기에 의하면, 부모 제사에서 윤회봉사의 범위를 아들로 제한하고 조상의 제사와 분묘 관리의 책임은 장자에게 맡기면서 장자, 아들, 딸의 상속분에 차이를 두었다. 동시대 처가인 문화유씨가는 이씨가와 달리 『경국대전』의 균분 원칙을 충실히 적용하고 있었다. 두 집안은 같은 시기를 살았던 인척지간임에도 이씨가가 상대적으로 아들 및 장자에게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18세기에 오면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화되어 1748년 이상형의 허여문기에 의하면, 재주는 조상 전래 재산을 모두 종손에게 상속하고 다른 자녀들에게는 재주 자신이 매득한 재산에 한정하여 상속하였다.
    분재 규모는 이운부-이상형으로 이어지며 계속 축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그런데 호구자료는 분재기와 큰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200여 년 동안 변동없이 유지되고 있다. 호구자료에는 선대에 이미 지손이나 출가한 딸에게 상속된 노비들도 여전히 등장하는데서 기인한다. 이 집안의 호구자료는 누락과 함께 虛錄의 문제도 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Analyzed in this article, are the property distribution documents that were produced by the Jeon'eui Yi Family members who resided in the Gwangju area for generations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uch task is attempted that we could examine how the civilian properties of the Joseon houses were distributed and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 and how those practices actually changed over the years. General practices of such sort did change, from the habit of distributing the property equally to all offsprings("均分"), to the habit of distributing them 'unequally,' and then eventually to the habit of providing only the eldest with all of the property, based upon the 'determination to observe the Clan code'(宗法意識). Yet the actual process of such transformation showed differences from region to region, and from houses to houses.
    The titular Yi house went through such transform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he early half of the 18th. In a document of property distribution issued in the year 1697, the daughters were exempted(actually excluded) from the duty of holding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and in the document of 1748 it was dictated to provide all the properties from the ancestors to the eldest son alone, and only distribute the properties acquired or obtained by the parent(財主) to the other children. Then, on the other hand, the Mun'hwa Yu house, which was the in-law house of the Yi house at this time, was still observing the principle of 'equal distribution' that had been dictated in the Joseon dynastic law code 『Gyeong'guk Daejeon』. We can see that even when both house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marital relationship, the Yi house was more adamant in observing the Clan code than the Yu house was.
    The practice of inheriting the property only to the eldest son, was to provide him with necessary amount of financial power that would help him meet the duty and obligation to hold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and also continue management of the family mountain where the graves of the ancestors were located. And such practice was also promoted in order to prevent the whole amount of properties(that had been established for decades) from actually shrinking, which could have happened when properties were equally distributed among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