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약품 표시와 관련 규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Consumer’s Perception on Medicine Labels and Related Regulation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5.12
23P 미리보기
의약품 표시와 관련 규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11권 / 4호 / 231 ~ 253페이지
    · 저자명 : 조성혁, 김정희

    초록

    현대사회는 과거에 비해 인터넷 등이 발달함에 따라 의약품에 관련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잘못된 정보를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의약품의 경우 전문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물품임과 동시에 건강과 생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구매부터 사용 및 보관, 처리까지 소비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 스스로 의약품의 표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각종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도 적절히 대처함과 더불어 의약품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약품 표시와 관련 규정에 대한 소비자의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파악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강구해 보고자 하였다. 식품 등 다른 품목에 비해 의약품 표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표시제도와 특히 의약품 표시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파악과 표시 및 관련 규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의약품 표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총 5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부정확한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506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체 응답자들이 의약품 표시를 확인하는 수준은 평균 이상으로 비교적 잘 확인하고 있었다. 다만, 의약품의 성분 확인 및 낱알식별표시의 확인에 있어서는 다른 문항들에 비해서 확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의 의약품 관련 규정 인식 수준은 평균 이하로 나타나 대부분 규정 또는 제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 중 부작용 보고(신고)제도나 부작용 피해구제제도에 대해서는 다른 문항들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들의 성별에 따른 의약품 표시 확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소비자들이 남성소비자들에 비해 잘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여부에 따른 규정 인식 정도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약품 표시에 대한 불만과 요구사항을 알아본 결과 개선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의약품 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과 요구를 반영하여 알기 쉬운 용어로 변경하고 표시를 좀 더 눈에 띄고 읽기 쉽도록 하며 정보 획득 및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창구 개설 등의 제도적 개선과 홍보 및 소비자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의약품의 제조회사(기업), 정부기관은 충분한 표시 정보 제공과 함께 사회 소비자 교육을 통한 소비자 정보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s information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consumers became well informed through all sorts of mass media, yet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leaves much to desire. Especially in case of medicine consumers must exercise great caution, as the managing needs professional training and the misuse may critically damage consumer's health and even life.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consumers' perception of and demand for general consumer awareness about medicine labels. This study will thus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concern with current situation on medicine label and consumers' perception on it, and act as preliminary one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distributed 540 questionnaires to male and female respondents in the 20s to the 60s, and recollected them. Excluding 34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improperly, this study utilized 506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First, referring to the confirmation level of medicine labels, the respondents seemed to check medicine labels relatively well. However, regarding the matters of ‘confirmation of ingredients of medicines’ and ‘confirmation of tablet imprint code system’, the respondents did not confirm these so well as other items.
    Secondly, the respondents scored below-average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n the regulations about medicine labels, meaning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the regulations about medicine labels. In the matters of both utilizing the system of reporting side effects of medicine products and inquiring compensation for the harm done by side effects, the respondents scored even lower.
    Thirdly, in concern with the confirmation of medicine label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gender. Female respondents confirmed medicine labels better than male ones. Also, marital status was found to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Married respondents seemed to be better aware of the regulations than unmarried ones.
    Fourthly, when asked if they had trouble with the current medicine labels and if improvements were necessary, the respondents strongly recognized the need to make them better.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Current medicine labels should be changed by reflecting consumers' needs and complaints, so that they are more readable, noticeable, and comprehensible. Also, improvements on system should be made so that there are more channels for information acquirement and communications. Proactive promotion and consumer education are also necessary. Thus, the manufacturers a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medicine label and provide enough comsumer education to keep them well info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정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