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의 제가비판과 이상적 인간상 (Zhuangzi’s Criticism of the Hundred Schools and Ideal Human Fig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3.06
33P 미리보기
장자의 제가비판과 이상적 인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14호 / 7 ~ 39페이지
    · 저자명 : 윤무학, 이규진

    초록

    『장자』는 백가쟁명의 산물로서, 각 편의 작자들은 주로 유가와 묵가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자신들의 이념을 선양하였다. 장자학파에서 보기에 제자백가는 모두 윤리적 가치판단과 논리적 시비판단의 측면에서 부분만 보고 전체를 보지 못한 방술(方術)에 불과한 것이다. 이에 당시 일반화된 이상적 인간상 가운데 특히 “인의”(仁義) 관념에 기초한 “군자”와 “성인” 관념을 비판하는 동시에 개념의 수정과 확대를 통하여 재정립을 도모하였다. 장자학파는 기본적으로 언어적 표현을 인위적 산물로 배척하면서도 자신들의 “주장”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부득이 메타언어를 활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외편과 잡편에서 제가를 비판하는 과정에 원용되는 “성인”(聖人) 개념은 비판과 긍정의 이중성을 보인다. 반면에 내편의 우화에서는 장자학파의 이상적 인간상으로 정립되어 “지인”(至人)이나 “신인”(神人)과 대등한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다.
    『장자』의 외편과 잡편에서는 “성인”과 마찬가지로 “지인”이나 “신인” 관념 또한 현실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이상과 현실을 동시에 향유하며 살아간다. 현실 속의 인간은 주어진 조건, 『莊子』에 보이는 의미에서의 “천명”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유대”(有待)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무대”(無待)의 이상적 인간형의 처세 방식 또한 “무기”(無己), “무공”(無功), “무명”(無名)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 것으로 이해된다. 일상인에게는 “유대”로 평가된 송영자(宋榮子)와 열자(列子)의 처세 방식 또한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자를 “자연주의”로 비판한 순자는 오히려 자연과 인위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사람을 “지인”이라고 칭하였다.
    장자학파의 역설적 논리에 근거하면 꿈을 도모하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위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이상과 현실의 상호 괴리를 경계하면서 “진인”으로 대표되는 현실적으로도 바람직한 처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인간상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후세의 도교에서 “진인”이 대표적 인간상으로 정립된 것은 도가의 “무위자연”의 관념이 현실적 인간의 “불로장생”으로 바뀐 데 연유하는 바 클 것이다.

    영어초록

    『Zhuangzi』 is a product of the Hundred Schools Controversy, and the authors of each chapter mainly criticized the Confucian and Mohism at the same time to promote their own ideolog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Zhuangzi School, all the Hundred Schools are nothing but a way of seeing only the parts and not seeing the whole in terms of ethical value judgments and logical dispute judgments. Accordingly, among the generalized idealistic human figures at the time, he criticized the notions of “Gentleman”(君子) and “Sage”(聖人) based on ethics, and at the same time sought to re-establish the concept by modifying and expanding the concept. The Zhuangzi School basically rejected linguistic expressions as artificial products, but inevitably had to use meta-language to reveal their “Asser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Sage”(聖人) in the process of critique of other schools in the external and miscellaneous works shows the duality of criticism and affirm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able of the internal works, it is established as the ideal human figure of the Zhuangzi school and is used as a concept equivalent to “Great man”(至人) or “God”(神人).
    Like “the sage,”(聖人) in in the external and miscellaneous works of "Zhuangzi", the notions of “the great man”(至人) or “the god”(神人) maintain a certain relationship with reality. We all live while enjoying the ideal and the reality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human beings in reality cannot escape various forms of “Youdai”(有待) due to the given conditions, “Tianming”(天命) in the meaning shown in 『The Zhuangzi』.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behavior of the ideal humanoid “Wudail”(無對) is also expressed in various ways such as “Wuji”(無己), “Wugong”(無功), and “Wuming”(無名).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conduct “Songrongzi”(宋榮子) and “Liezi”(列子)'s behavior, which is evaluated as “Youdai”(有待). Therefore, Xunzi, who criticized Zhuang-tzu for “naturalism”, rather called “Great man”(至人) who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nature and man-made. Based on the paradoxical logic of the Zhuangzi School, pursuing a dream is not natural, but rather artificial. Therefore, it seems to have presented an image of a human being who can maintain a desirable situation in reality, represented by “True man”(眞人), while being wary of the mutual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rue man”(眞人) as a representative human figure in Taoism in the future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aoist’s concept of “Wuwei ziran”(無爲自然) was changed to “Bulao changsheng”(不老長生) of a real human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문화와 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