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상 국가책임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Constitutional State Responsibi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헌법상 국가책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28권 / 2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박상돈, 김일환

    초록

    오늘날 사회변동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편에서는 공공성의 구현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헌법은 규범성뿐만 아니라 사실성도 지니기 때문에 사회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국가의 기본법으로서 국가와 그 구성원을 규율하기 때문에 국가에 의한 공공성의 구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국 가가 어떻게 사회적 문제에 대하여 규범적인 책임을 부여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헌법상 국가책임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법적 책임과 비법적 책임을 모두 포괄하는 범위의 일반적 책임 개념에 기초하여 헌법상 국가책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그 구성요소와 성격 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헌법상 국가책임의 구성요소는 주체인 국가, 심급인 헌법 적 가치, 대상인 헌법상 의무, 객체인 국민이다. 국가는 국가권력의 행사주체인 협 의의 국가와 통일된 의사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협의의 국가를 형성하는 인적・공 간적 공동체인 광의의 국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헌법적 가치는 광의의 국 가가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그러한 의사를 표현한 가치에 헌법이라는 규범을 매개 로 하여 규범력을 부여한 것이다. 헌법상 의무는 헌법의 규범적 요구에 따라 도출 된 당위이며, 그러한 규범적 요구는 기본권규정, 제도보장규정, 국가목표규정을 통 하여 제시된다. 국민은 주권의 보유자이자 행사자인 동시에 기본권의 주체인 개인 이며, 그러한 국민의 주권 행사는 광의의 국가를 통하여 단일불가분한 공동체의 의사결정 결과라는 형태로 표출된다. 헌법상 국가책임은 외형상으로는 법적 책임 이며, 내용상으로는 법적 책임과 비법적 책임의 성격을 모두 지닌다. 어떠한 새로운 문제가 사회의 자율적인 영역에 맡길 수 없고 국가가 무엇인가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사안인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현존하는 헌법적 가치 및 헌 법상 의무를 통하여 해당 사안에 대한 국가책임이 인정되는지 확인하여 그에 따 른 법적 책임을 국가에 부여하고,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해당 사안에 대한 국가의 비법적 책임에 규범력을 부여하고 헌법상 국가책임으로 전환시키는 헌법 개정을 하게 된다.

    영어초록

    Demands for publicness nowadays are growing as society changes rapidly. As constitutional law has not only a normative but also a factual nature,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social phenomena.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publicness by the state, as it functions as the state’s fundamental law that regulates the state and its constituen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how a state takes the normative responsibility for its social matters, giving consideration to the constitutional state responsibilit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discuss the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of a stat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common responsibility to cover all legal and non-legal responsibilities. The constitutional state responsibility has four components: a state as a subject; the constitutional value as instance; the constitutional duty as the object of actions; and the people as the object of attribution. The concept of a state embraces both narrow and broad meanings. The former is an institution that exercises the governmental power, and the latter refers to a human-spatial community to determine the common will and to establish the state in the narrow meaning. A state in the broader sense decides the core values, which are expressed as the constitutional values in the constitutions. Its constitutional duty is an oughtness derived from the legal demand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the fundamental rights, system guarantee, and state objectives. People refers to individuals who possess and exert the sovereignty, and the collective exercise of their sovereign rights is expressed as a single and indivisible intent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tate in the broader meaning. As such, the nature of the constitutional state responsibility bears both legal and non-legal responsibility, despite its appearance as a legal responsibility alone. Where emerging social issues require state actions and cannot be resolved by the autonomy of the society, the first step is to review the existing constitutional values and duties to determine whether the state bears responsibility over the matter at hand. If it is impossible by the current constitution, then an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to accord normative power to the state’s non-legal responsibility and convert to a constitutional state responsibility will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