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도 내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 연구 (The Study of the Quality of Life(QOL) of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in GangWon-d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03
33P 미리보기
강원도 내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유아보육학 / 70호 / 155 ~ 187페이지
    · 저자명 : 홍금자, 최혜지, 이혜영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 가족의 장애아동 부양과 관련된 생활에 관해 조사하고, 강원도 내 장애아동에 대한 부양부담과 그 가족의 삶의 질의 실태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정하는데 1차적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장애인과 그 가족에 대해 어떤 형태로의 지원이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자 할 때 그들의 현황과 욕구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 면밀한 결과 분석에 근거하여 지원방향을 결정해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주부양자를 포함한 가족들의 특성과 10개 영역에 걸친 삶의 질 관련 척도 및 장애아동에 대한 부양부담 정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은 Roy Brown 교수의 연구에 근거하여 가족생활 영역을 가족의 건강, 경제적 안정, 가족 관계, 타인으로부터의 지원, 장애관련 서비스 지원, 종교적․문화적 신념, 경력과 이를 위한 준비, 여가와 삶에 대한 즐거움, 지역사회 참여의 9개 영역과 장애아동에 대한 부양부담의 10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대한 설문내용과 만족도를 조사한 후 평가․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아동 부양에 대한 책임이 어머니에게 집중되어 있고 어머니가 많은 희생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 부양에 대한 가족 분담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장애아동의 주 수발자인 어머니의 부양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되며 이는 가족 분담 지원책과 병행하여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2. 강원도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타인의 도움」 영역, 「가족관계」 영역, 「종교적․문화적 신념」 영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적은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건강」 영역, 「경제」 영역, 「장애자녀에 대한 부양부담」 영역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 활동 참여와 관련된 영역은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강원도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은 공적․공식적 차원의 관계성이나 사회적 관계망에 의한 충족보다 개인적․비공식적 차원의 관계 유지에 의존하여 충족되고 있다는 사실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을 높여가기 위한 전반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그 방향은 개인적․비공식적 차원의 관계성에 의한 충족 비율을 줄이면서 공적․공식적 차원의 관계성이나 사회적 관계망에 의한 충족 비율을 높이기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QOL) of family who support their disabled children. To examine the present care situation and the QOL level of the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in Gangwon-do as well as when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are selected, a survey is a prerequisite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and needs of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detailed analysis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that support programs must take as well a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support.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including the main care person and the degree of burden for the disabled child, and the QOL level of nine domains of child`s family.
    We used Professor Roy Brown's scale to measure the QOL of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His scale is composed of 9 domains including Health, Financial Well-Being, Family Relationships, Support from Other people, Support from Disability Related Services, Spiritual and Cultural Beliefs, Career and Preparing for Careers, Leisure and Enjoyment of Life, Community and Civic Involvement, and the degree of burden for the disabled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Responsibility of the disabled child's care was concentrated on the mother and it was owing to the mother`s great sacrifice.
    From these facts, we found that the responsibility of care for the disabled child was not evenly distributed amongst the family members. A way for reducing the mother's load for caring for the disabled child must be considered and is requested for policies concerning the distribution of caregiving responsibility in the family.
    2. 「Support from Other people」(R²=.602), 「Family Relationships(R²=.131)」, 「Religious and cultural faith(R²=.086)」 domains had high influence on the QOL of the disabled child family in Gangwon-do. But 「health(R²=.018)」, 「Financial Well-Being(R²=.012)」, 「Care burden」(R²=.001) domains had low and 「Community & Civic Involvement」 domain had no influence on the QOL of the disabled child family in Gangwon-do.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QOL of the disabled child family in Gangwon-do was satisfied by personal and informal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public dimensions, both formal and social.
    Finally w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and a local government`s efforts, plan and system is required to raise the child family`s QOL, to get rid of obstacles and to improve the system. If possibl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atisfaction ratio with public dimension, formal and social relationship and to lower the satisfaction ratio with personal and informal ratio. And we suggested the basic and common direction that must be considered to establish the policy to support improvement of the QOL of the disabled child's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영유아보육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