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Ambivalent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Subjective Well-be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10
24P 미리보기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8권 / 5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한준, 김석호, 하상응, 신인철

    초록

    최근 들어 국내외 사회과학에서 행복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행복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 국제적으로 확산된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사회지표 운동, 그리고 1970년대 경제학자 이스털린(Easterlin)의 역설의 발견 등에 의해 높아졌으며, 1980년대와 90년대에 걸쳐 주춤하는 듯하다가 2000년대 들어 다시 사회과학 및 정책의 담론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 행복 연구는 ʻGDP를 넘어서(beyond GDP)ʼ라는 큰 흐름 속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GDP가 아닌 무엇이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는가에 대해서는 학문에 따라, 또한 학자들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
    최근 들어 행복의 차이를 낳는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는 것이 사회적 관계이다. 고립된 사람들에 비해 사회적 관계가 발달한 사람들은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원의 동원가능성이 높고, 또한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일 뿐 아니라 주관적 보상을 제공해서 삶의 만족을높인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관계의 행복에 대한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사회적관계가 행복을 저하시킬 수 있는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았다. 삶의 만족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역할은 한편에서는 물질적, 정서적, 도덕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이는 통로(pipe)로서의 긍정적 측면과 함께, 다른 한편에서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멸시를 받거나 아니면스스로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자신을 비하함으로써 만족도를 낮추는 일그러진 거울(mirror)과 같은 부정적 역할을 동시에 한다. 삶의 만족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이러한 양면적 효과를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결과도움을 받을 이웃이 많고, 주변에 소통할 사람이 있으며, 일인가구가 아닌 경우 삶의 만족이 높은반면, 자신의 객관적 소득계층에 비해 스스로를 낮게 평가하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무시당하거나 인정을 받지 못한 경험이 있으면 삶의 만족이 낮았다.

    영어초록

    Studies on happiness have proliferated in social sciences recently. Academic interests inhappiness have been fueled by the international social indicator movement during the1960’s and the formulation of Easterlin’s paradox during the 1970’s. Happiness researchstagnated during the 1980’s and 1990’s, but regained momentum in the 2000’s. Moststudies on happiness have followed the trend of ‘beyond GDP’, but there has been lessconsensus among disciplines and scholars on what promotes or contributes to happiness. Social relations have been believed to be a main factor in happiness. Persons with moreand richer social relations, it has been suggested, are more likely to get help when theyneed one, are more prone to seize opportunity for success, and feel more confident aboutthemselves and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vely unexplorednegativ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happiness, focusing on the imagery of social relationsas distorted mirror by which people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nd feel unhappy. Itis contrary to the more prevalent imagery of social relations as pipes through whichmaterial, emotional, and moral support flow among people, which help people feel happy. Using 2012 KGSS data, we tested the hypothesis on the ambivalent effects of socialrelations on happiness. Statistical analysis reveals that persons with more neighbors to helpthem, enjoying higher chances of communication, and not living alone enjoy higher levelof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ose locating themselves lower in class hierarchy than theirobjective position and having experienced humiliation or lack of recognition suffer fromlow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